넷플릭스, 비용절감 안간힘…지난해 자체 콘텐츠 130여 개 줄어

입력 2024-01-08 16: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넷플릭스, 수익성 확보 어려움 직면
할리우드 작가·배우 노조 파업 영향도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 수 추이. 검정: 영화(지난해 219개) / 분홍: 드라마(370개) / 노랑: 다큐멘터리·스탠드업 코미디(116개). ※지난해 콘텐츠 수 전년 대비 134개 감소. 출처 블룸버그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 수 추이. 검정: 영화(지난해 219개) / 분홍: 드라마(370개) / 노랑: 다큐멘터리·스탠드업 코미디(116개). ※지난해 콘텐츠 수 전년 대비 134개 감소. 출처 블룸버그
세계 최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업체 넷플릭스가 비용 절감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활발한 자체 콘텐츠 제작으로 타 업체와의 차별화에 공을 들여왔지만, ‘수익성 확보’ 문제에 직면한 넷플릭스는 이제 자체 콘텐츠 제작을 줄여나가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왓츠온넷플릭스에 따르면 지난해 넷플릭스가 공개한 오리지널 콘텐츠는 총 705개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보다 134개 줄어든 것이다.

넷플릭스는 최근 10년간 신규 오리지널 프로그램 수를 늘려왔지만 지난해 들어 제작량은 매 분기 감소했다. 영화와 시리즈물은 지난해 전년 대비 각각 28개, 34개 줄었다. 다큐멘터리·스탠드업 코미디 콘텐츠도 188개에서 116개로 대폭 감소했다. 지난해 4분기 넷플릭스가 공개한 자체 제작 콘텐츠는 5년 만에 가장 적었다.

OTT 업계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넷플릭스의 가입자 수는 2022년 처음으로 감소했다. 이에 넷플릭스는 400명에 달하는 직원을 해고하고 예산 삭감을 단행하기도 했지만 공격적인 콘텐츠 투자 기조는 유지해 왔다. 지난해 넷플릭스가 정책의 방향을 튼 것은 그만큼 OTT 업계가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넷플릭스가 콘텐츠 제작을 줄인 배경에는 작가·배우 노조의 파업 영향도 있다. 미국작가조합(WGA)과 할리우드 배우·방송인 노동조합(SAG-AFTRA)이 각각 지난해 5월과 7월 파업에 돌입했다. 이 여파로 넷플릭스의 지난해 하반기 콘텐츠 제작량은 상반기보다 약 25% 줄었다. 올해와 내년에 공개될 예정이었던 오리지널 콘텐츠들도 줄줄이 제작이 연기되거나 취소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코스피 덮친 상호관세 쇼크…1년5개월만 2300선 붕괴
  • 국회 계단→이순신 장군 앞…대선 출마 선언 '장소', 왜 중요한가요? [이슈크래커]
  • 소비위축에 술도 안 마신다…식당 사장님들 '한숨' [데이터클립]
  • 수돗물이냐 생수냐, 긁히는 라면물 논쟁 [요즘, 이거]
  • 中화웨이 AI 칩 열어보니 TSMC 반도체…미국 상무부, 10억 달러 벌금 검토
  • ‘권한대행의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임명 불가법’, 법사위 통과
  • ‘T의 위협‘ 韓 기간산업 뿌리째 흔든다 [상호관세 발효]
  • 쿠팡 쇼핑 즐긴다면…‘실시간 가격변동 알리미’ 앱으로 알뜰 쇼핑 하세요 [경제한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5,786,000
    • -2%
    • 이더리움
    • 2,221,000
    • -5.37%
    • 비트코인 캐시
    • 408,500
    • -2.41%
    • 리플
    • 2,736
    • -2.84%
    • 솔라나
    • 159,900
    • -1.66%
    • 에이다
    • 854
    • -2.4%
    • 이오스
    • 1,002
    • -7.99%
    • 트론
    • 344
    • -2.55%
    • 스텔라루멘
    • 330
    • -3.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39,210
    • -3.8%
    • 체인링크
    • 17,020
    • -1.68%
    • 샌드박스
    • 359
    • +0.5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