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TV, 트위치·우왁굳 이적 반사 수혜로 영업익 1000억 예상…목표가↑”

입력 2024-01-09 08:0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메리츠증권은 9일 아프리카TV에 대해 트위치 국내 철수부터 트위치 1위 스트리머인 '우왁굳'의 이적행이 확정되면서 반사 수혜를 입을 전망이라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10만 원에서 11만 원으로 10% 상향 조정했다. 전 거래일 기준 현재 주가는 9만8800원이다.

아프리카TV의 4분기 연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945억 원, 236억 원으로 시장 전망치에 부합할 전망이다. 전년 대비 각각 18%, 52% 증가한 수준이다. CTTD 인수 효과 및 성수기를 감안해 높은 광고 매출을 기대했으나 광고수익이 예상에 미치지 못하면서 4분기 이익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지난달 트위치의 국내 사업 종료 공식화에 더해 트위치 국내 1위 스트리머인 ‘우왁굳’의 아프리카TV행까지 확정되며 지난 한 달간 아프리카TV의 주가는 31% 상승했다. 와이즈앱 기준 4분기 트위치 설치자 중 아프리카TV 동시 이용 비율은 40%다.

메리츠증권에 따르면 트위치 사업 종료로 아프리카TV가 확보할 수 있는 신규 유저는 그 외에 해당하는 60%(300만 명)에 해당한다. 이 중 절반이 신규 유입된다고 가정할 경우 올해 기부경제 매출은 전년 대비 400억 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효진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반면, 기부경제 매출은 호실적이 예상된다. 풍투데이에 따르면, 4분기 Top 50 BJ의 기부경제 총거래액은 전년 대비 165% 증가했다. Top 50 외 거래액은 전년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blended take rate은 3분기와 유사하거나 소폭 하락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글로벌 플랫폼 충원과 출시 마케팅 및 신규 스트리머 유입을 위한 계약금, 컨텐츠 제작비 증가 등을 고려했을 때 올해 연결 영업이익은 1002억 원을 예상한다. 트위치 반사수혜 총 예상 효과의 70%가 2024년 말까지 확인될 것으로 가정했다"며 "트위치 사업 종료부터 최상위 스트리머 이적까지 이벤트 플레이가 완료되는 시점으로 2024년 실적 가이드와 시장의 기대치가 균형점을 찾아갈 시기"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헌정 초유 ‘대대대행’ 체제, 이주호 “막중한 책임감”…33일간 국정 맡는다
  • SKT, 해킹 여파에 시총 1조 증발…KT·LGU+, 주가 고공행진 ‘반사이익’
  • “하늘이 노했다?” 서울 하늘 덮은 특이 구름, 5월 연휴 날씨 전망은…
  • 완성차 업계 ‘주 4.5일제’ 논의 재점화…정치권 공약에 노조 요구 탄력
  • ‘찌를 필요 없다’ 먹는 비만약, 국내 시장 재편할까
  • “2나노 주도권 경쟁 본격화”…삼성전자, TSMC와 격차 좁힐까 [ET의 칩스토리]
  • 4월 서울 아파트 거래 68% 급감…‘토허제 역기저’에 강남3구 90%↓
  • 트럼프 車ㆍ부품 관세 완화에도 ‘공급망 재편’ 불가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09:2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9,712,000
    • +2.67%
    • 이더리움
    • 2,664,000
    • +2.82%
    • 비트코인 캐시
    • 521,000
    • -2.16%
    • 리플
    • 3,197
    • +1.04%
    • 솔라나
    • 218,300
    • +2.1%
    • 에이다
    • 1,016
    • +2.63%
    • 이오스
    • 1,017
    • +4.2%
    • 트론
    • 352
    • -1.12%
    • 스텔라루멘
    • 396
    • +1.0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900
    • -1.37%
    • 체인링크
    • 21,340
    • +2.69%
    • 샌드박스
    • 440
    • +2.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