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 10곳 중 7곳 “올해 수출 실적 유지·호전”…적극적 지원 정책 필요

입력 2024-01-11 09: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한국중견기업연합회)
(출처=한국중견기업연합회)

중견기업 10곳 중 7곳은 올해 수출 실적이 좋아지거나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내다봤다. 수출 활성화를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을 호소했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11일 ‘2024년 중견기업 수출 전망 및 애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지난달 5일부터 18일까지 수출 중견기업 402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올해 수출에 대해 중견기업 45.5%는 ‘전년 대비 확대’, 26.9%는 ‘유지’를 전망했다. 수출 확대에는 ‘경기회복(38.8%)’, ‘신규 진출 지역 매출 신장(35.0%)’에 대한 기대가 반영됐다.

수출 확대 전망은 업종별로 자동차·트레일러 58.8%, 화학물질·제품, 석유, 식·음료품은 50.0%, 도·소매업 43.2% 등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수출이 감소할 것으로 내다본 중견기업은 가장 큰 위험 요소로 ‘글로벌 경기 둔화 지속(64.9%)’을 지목했다. ‘원자재 가격 상승(13.5%)’, ‘환율 변동성 확대(9.9%)’, ‘물류비용 상승(3.6%)’ 등에 대한 우려도 있었다.

중견기업들은 수출 실적 개선을 위해 ‘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33.1%)’, ‘수출국 다변화(29.9%)’, ‘내수 비중 증대(20.8%)’ 등 자체 수출 경쟁력을 높였다.

수출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세·부가세 등 세제 지원 강화(31.6%)’, ‘보증 등 무역금융 확대(27.9%)’, ‘수출 마케팅 지원(14.2%)’ 등 적극적인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특히 자동차·트레일러 업종은 ‘보증 등 무역금융 확대(49.0%)’, 식·음료품 업종 ‘수출 마케팅 지원(37.5%)’, 도·소매업은 ‘관세·부가세 등 세제 지원 강화(40.5%)’를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꼽았다.

중견련 관계자는 “중견기업의 수출 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실적 위주의 평가에서 벗어난 전향적인 금융지원과 업종별 중견기업의 구체적인 요구를 뒷받침할 수 있는 실효적인 세제 지원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견기업의 75.1%는 3개 이상 국가에 진출했다. 주요 수출 시장은 미국(30.1%), 중국(22.4%), 일본(11.7%), 베트남(10.4%), 유럽(7.2%) 등 순으로 조사됐다.

‘통관 등 행정 애로(25.1%)’, ‘해당국 수입 규제(24.9%)’, ‘인증 등 기술 규제(18.9%)’, ‘현지 법률 정보 부족(17.9%)’ 등이 수출 시 어려움으로 꼽혔다. 특히 ‘해당국 수입 규제’는 중견기업 수출 시장 상위 세 개 국가인 미국(29.8%), 중국(28.9%), 일본(34.0%)에서 공통으로 겪고 있는 가장 큰 애로로 나타났다.

중견기업의 34.3%는 신규 시장 진출을 계획하고 있다. 이 중 81.1%는 올해 하반기부터 내년 상반기 이내를 목표로 잡았다.

신규 진출 목표 시장은 미국(21.7%), 베트남(14.5%), 유럽(14.5%), 인도네시아(10.1%) 등 순으로 조사됐다. ‘기존 시장 포화(31.2%)’, ‘신사업 확대(20.3%)’, ‘전략적 입지 확보(20.3%)’, ‘거래사와의 협업 강화(17.4%)’ 등을 신규 시장 진출 추진 이유로 밝혔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경제적 불확실성이 여전한 상황 속에서도 72.4%의 중견기업들이 수출 실적 유지, 호전을 전망한 조사 결과는 경제 활력 제고의 의미 있는 신호”라며 “공급망 재편, 자국중심주의 확산 등 무역·통상 환경이 크게 변화된 만큼 안정적인 수출 시장 확보를 위해 수출국 다변화, 공급망 안정화 등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될 수 있도록 정부, 국회와 긴밀한 소통을 이어가겠다”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300조로 빚 탕감', '차별금지법 반대'…대선 후보들의 이색 공약
  • 직진·환승, 그리고 오열…도파민 터지는 '레전드 연프' 정주행 해볼까
  • '헌 폰도 새 폰처럼' 갤럭시 S24 사용자가 '원 UI 7.0' 써보니
  • 달리는 '李'에 태클 건 대법원?…대선판 흔들리나
  • 어린이날ㆍ석가탄신일 낀 황금연휴…전국 행사 총정리 [주말N축제]
  • 강남에서 2800가구 평당 8400만원은 넘어야…대한민국 '대장 아파트' 살펴보니
  • 어린이날 황금연휴 시작…가족ㆍ연인과 즐길 만한 문화 나들이는?
  • “즐거운 연휴 신차 시승·모터사이클 전시 즐겨보세요”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769,000
    • -0.19%
    • 이더리움
    • 2,613,000
    • +0.35%
    • 비트코인 캐시
    • 528,000
    • +0.09%
    • 리플
    • 3,147
    • +0.13%
    • 솔라나
    • 211,600
    • -0.66%
    • 에이다
    • 998
    • -0.89%
    • 이오스
    • 1,036
    • -2.81%
    • 트론
    • 353
    • +0.86%
    • 스텔라루멘
    • 388
    • -1.0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900
    • -4.94%
    • 체인링크
    • 20,620
    • -1.15%
    • 샌드박스
    • 421
    • -2.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