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페트 소주 매출, 병 소주 넘었다

입력 2024-01-14 10: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CU 소주 매출 비중 지각 변동…홈술·고물가 영향

▲편의점 CU에서 직원이 페트 소주를 꺼내고 있다. (사진제공=BGF리테일)
▲편의점 CU에서 직원이 페트 소주를 꺼내고 있다. (사진제공=BGF리테일)

편의점 소주 시장에 지각변동이 일어났다. 홈술·고물가 영향에 따라 편의점에서 페트 소주 매출이 처음으로 병 소주 매출을 넘어섰다.

14일 편의점 CU의 5개년 소주 매출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소주 매출에서 페트 소주 비중은 50.2%로 병 소주(49.8%) 보다 더 높은 매출을 기록했다. 페트 소주의 매출 비중이 병 소주를 넘어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연도별 변화 추이를 보면, 페트 소주는 2019년 30.4%, 2020년 31.3%로 병 소주 대비 매출이 현저히 적었다. 하지만 2021년 44.2%, 2022년 47.0%로 큰 폭으로 상승했다.

반면 병 소주는 2019년 69.6%, 2020년 68.7%로 압도적인 매출 비중을 보였으나 코로나 팬데믹 이후 지속적으로 매출 비중이 줄어들면서 2021년 처음 60%대 점유율이 무너졌고 지난해엔 40% 후반대까지 내려 앉았다.

특히 페트 소주가 전체 소주 매출도 견인했다. 실질적인 매출신장률을 살펴보면 페트 소주는 2019년 대비 2023년 무려 158.0% 올랐으나 병 소주의 경우 같은 기간 27.1%에 오르는 데 그쳤다.

이같은 현상은 소비자들의 구매 및 음주 패턴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집에서 술을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무겁고 깨질 위험이 있는 병 보다 재활용이 간편한 페트 소주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다.

고물가로 인해 소비자들의 가격 민감도가 높아진 것도 최근 페트 소주 인기에 영향을 미쳤다. CU에서 판매 중인 페트 소주(640㎖)를 100㎖ 당 단가로 환산하면 516원인 반면 병 소주 (360㎖)는 100㎖당 528원이다. 페트 소주가 병 소주에 비해 용량도 큰 데에다가 가격까지 저렴한 셈이다.

이승택 BGF리테일 주류팀장은 “최근 물가 인상으로 음식점의 소주 가격이 6000~7000원대로 치솟으며 소비자의 부담이 커지자 홈술을 하는 사람들이 증가해 편의점 페트 소주에 대한 수요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며 “기존 병 소주의 대표성이 깨지면서 이러한 구매 변화에 따라 빠르게 상품 변화를 시도해 고객 편의와 점포 매출 향상을 꾀하고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두 번째 대면한 정용진…3배 실적 점프에 ‘글로벌 영향력’ 확대
  • 팬심도 쌓고 자산도 쌓고…최애 ‘덕질통장’으로 즐겁게 저금해볼까 [경제한줌]
  • '아아'의 계절이 온다…2025 아이스 아메리카노 가격 비교 "가장 싼 곳은?" [그래픽 스토리]
  • 대학 축제 라인업, 집착(?)의 이유는 [이슈크래커]
  • 단독 대선 앞두고...동서식품, 6개월 만에 또 ‘가격 인상’
  • 김용태 비대위원장, 尹 전 대통령에 탈당 권고…"대선 승리 위해 결단해달라"
  • 유권자 10명 중 8명 “이번 대선 반드시 투표하겠다”
  • ‘골때녀’ 원더우먼, 월클에 이어 스밍파에도 3-0 승리...마시마·우희진 활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120,000
    • +0.14%
    • 이더리움
    • 3,606,000
    • -1.74%
    • 비트코인 캐시
    • 561,000
    • -1.06%
    • 리플
    • 3,418
    • -5.21%
    • 솔라나
    • 239,700
    • -3.7%
    • 에이다
    • 1,082
    • -3.82%
    • 이오스
    • 1,106
    • -1.86%
    • 트론
    • 387
    • -1.02%
    • 스텔라루멘
    • 415
    • -3.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100
    • -4.49%
    • 체인링크
    • 22,690
    • -5.22%
    • 샌드박스
    • 457
    • -8.2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