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규제' 기업 대응 방안은?…환경산업기술원, 'ESG 온 세미나' 개최

입력 2024-01-16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제10회 이에스지(ESG) 온(ON) 세미나’ 행사 포스터 (사진제공=한국환경산업기술원)
▲‘제10회 이에스지(ESG) 온(ON) 세미나’ 행사 포스터 (사진제공=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규제 법제화에 따른 기업의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17일 ‘제10회 이에스지(ESG) 온(ON) 세미나’를 온라인으로 열고, 올해 국내외 ESG 규제 법제화에 따른 기업의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미국, 유럽연합, 국제회계기준(IFRS)재단 등 주요국 및 국제기구의 ESG 공시기준 동향과 국내 기업의 대응 과제를 주제로 진행한다.

서정석 김·장 법률사무소 이에스지경영연구소 전문위원은 올해 의무 공시가 본격화되는 지속가능성 공시기준부터 생물다양성, 생태계 등 추가적인 공시기준 동향과 국제 가치사슬에 편입돼 있는 우리 기업의 경쟁력 제고 방안을 제언한다.

이어서 박필주 환경산업기술원 단장은 ESG 공시 의무화,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및 녹색금융 확산, 제품 탄소 규제 강화가 가져올 변화와 기업의 선제 대응을 돕기 위한 정부 지원사업을 소개한다.

환경산업기술원은 지난해 4월부터 매월 셋째 주 수요일 오후에 ‘이에스지(ESG) 온(ON) 세미나’를 열어 주요국의 공급망 실사법 및 녹색분류체계 동향, 친환경 위장기업 사례 등을 소개해 왔으며, 매회 500명 이상 참석할 만큼 호응을 얻었다.

올해는 유럽연합의 공급망 실사와 지속가능성 공시,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이 본격 시행됨에 따라 수출과 제조 산업 위주의 우리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세분화된 양질의 정보를 교류한다.

사전 신청 및 접속 주소 등 행사 세부 사항은 환경산업기술원 홈페이지(keiti.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최흥진 환경산업기술원장은 “올해는 ESG 공시 역사에 새로운 변곡점이 될 한 해로 기업이 느끼는 대비의 시급함이 작년보다 더욱 높아진 상황"이라며 "우리 기업이 대응 태세를 갖추는 데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 행사는 2월 21일 ESG' 투자의 시대, 녹색금융 활용 방안을 주제로 열릴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한국, 첨단 산업 인재 부족 '초비상' [두뇌유출 上]
  • 다시 온 트럼프, 100일간의 역주행 [트럼프 2기 취임 100일]
  • 엔비디아·SK하이닉스·대만 업체 한자리에…컴퓨텍스 2025 미리보기 [ET의 칩스토리]
  • [전문] SKT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후 피해 발생 시 100% 책임"
  • 간병인부터 자녀까지…몰래 돈 빼내고 집 팔아먹기도 [시니어 지갑이 위험하다上 ]
  • “탄핵 찬성, 반대?” 사회 곳곳에 나타나는 ‘십자가 밟기’ [서초동 MSG]
  • 리버풀 프리미어리그 조기 우승, 토트넘은 제물
  • 바이오부터 의료AI까지…‘인재 사관학교’가 산업을 움직인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8 10:1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529,000
    • -1.73%
    • 이더리움
    • 2,557,000
    • -4.05%
    • 비트코인 캐시
    • 496,300
    • -4.92%
    • 리플
    • 3,237
    • +2.08%
    • 솔라나
    • 211,500
    • -1.95%
    • 에이다
    • 1,006
    • -2.61%
    • 이오스
    • 961
    • -2.73%
    • 트론
    • 352
    • -3.83%
    • 스텔라루멘
    • 407
    • -3.5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250
    • -10.16%
    • 체인링크
    • 20,870
    • -3.82%
    • 샌드박스
    • 421
    • -6.4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