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목적댐 저수량이 역대 최대 규모인 95억 톤에 달해 올해 봄 가뭄 발생 시 안정적인 용수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부는 16일 기준 환경부가 관리하는 전국 20개 다목적댐 저수량을 약 95억 톤 확보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저수량은 역대 최대 규모로 이전 최대 규모인 2019년 89억4000만 톤보다 5억6000만 톤이나 더 많은 양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지난해 홍수기의 강우를 댐에 최대한 저장한 결과, 다목적댐 총 저수율은 예년의 147% 수준으로, 올해 홍수기 전까지 댐 가뭄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그로 인해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 안정적으로 생활 및 공업용수를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환경부가 지난해 다목적댐 유역 강우량을 분석한 결과, 2023년도는 상반기 남부지방 극한 가뭄과 함께 하반기 역대급 강우까지 기후 양극화를 기록한 한해로 나타났다.
관련 뉴스
2023년도 다목적댐 유역에는 연평균 1716㎜(예년의 137%)의 비가 내렸으나, 그해 1∼4월까지는 예년의 69%(다목적댐 평균 강수량 129㎜) 수준에 그쳤다.
특히 2022년부터 이어진 남부지방 중심의 가뭄 상황이 지속돼 그해 4월 4일 주암댐의 경우 역대 최저 저수율인 20%를 기록한 바 있다.
당시 환경부는 극한 가뭄을 극복하기 위해 2022년 11월부터 관계기관 합동 대책반(TF)을 구성해 총 11개 댐을 가뭄단계로 관리하면서 용수관리·수요 절감 등의 가뭄 대책을 추진했고, 그해 7월에 11개 댐 모두 가뭄단계에서 해소됐다.
한편, 환경부는 기후위기 심화에 대비해 기존 댐의 효율적인 운영뿐만 아니라 신규 댐 건설과 기존 댐 리모델링 등을 통해 가뭄과 홍수로부터 국민을 보호할 수 있는 안전망을 더욱 두텁게 구축할 방침이다.
또한, 장래 물 수급 전망과 홍수위험도를 고려해 환경부 주도의 댐 건설계획과 함께 지난해 5월부터 11월까지 지역에서 건의했던 20개 댐의 적정성을 검토하고 있으며, 시급성 등 우선순위를 고려해 기본구상(10개소) 및 타당성 조사(3개소)를 추진할 방침이다.
김구범 환경부 수자원정책관은 "갈수록 심화하는 기후위기 상황에서 댐의 역할이 보다 중요해지고 있다"라며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 댐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는 한편, 신규 댐 건설과 기존 댐 리모델링을 차질 없이 추진해 안정적인 용수공급과 홍수 피해 예방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