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지지율, 3주 만에 하락세 전환…한동훈 갈등 여파[리얼미터]

입력 2024-01-29 08: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 36.2%…국민의힘 36.6%, 민주당 44.9%

▲23일 오후 충남 서천군 서천읍 불이 난 서천특화시장을 찾은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 한동훈 비대위원장이 시장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23일 오후 충남 서천군 서천읍 불이 난 서천특화시장을 찾은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 한동훈 비대위원장이 시장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지난주보다 0.6%포인트(p) 하락한 36.2%를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29일 나왔다. 지난 21일 불거진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과의 갈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22∼26일(1월 4주차) 전국 18세 이상 2506명을 대상으로 조사(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 ±2.0%포인트)한 결과 윤 대통령 국정 수행 긍정 평가는 36.2%로 나타났다.

이는 직전 조사(1월 15∼19일)보다 오차범위 내인 0.6%p 하락한 수치다. 윤 대통령 국정 수행 긍정 평가는 1월 1주차 35.7%에서 2주차 36.3%, 3주차 36.8%로 상승했다가 이번에 3주 만에 하락했다. 국정 수행 부정 평가는 오차범위 내인 0.2%p 오른 60.0%였다.

리얼미터는 "지난 21일 불거진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 갈등이 한 주 내리 화두였다"며 "서천시장 화재 현장 동행이 있었으나 '갈등 봉합', '약속 대련 의혹' 등 정쟁적 측면이 부각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런 가운데 '단말기 유통법 폐지', '늘봄학교·유보통합', 'GTX 노선 연장·신설' 등 분야별 민생혁신안이 부정여론 희석에 즉각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고 덧붙였다.

권역별로 보면, 긍정 평가는 대구·경북(4.0%p↓), 부산·울산·경남(3.0%p↓)에서 내렸으며, 서울(2.9%p↑)에서는 올랐다. 연령대별로는 30대(4.9%p↓), 70대 이상(2.1%p↓)에서 내렸고, 20대(1.1%p↑)에서는 올랐다. 이념 성향별로는 중도층(5.8%p↓)에서 하락했고, 진보층(2.7%p↑)과 보수층(1.1%p↑)에서는 상승했다.

윤 대통령 국정 수행 평가 조사는 무선(97%)·유선(3%) 자동응답(ARS) 방식으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3.3%였다.

한편, 25∼26일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00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정당 지지도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p)에서는 국민의힘 지지도는 직전 조사와 동일한 36.6%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도는 대구·경북(7.6%p↑), 부산·울산·경남(3.3%p↑) 등에서 올랐으나 서울(3.0%p↓), 인천·경기(1.0%p↓) 등에서 내렸다.

더불어민주당 지지도는 44.9%로 오차범위 내인 0.2%p 하락했다. 민주당 지지도는 광주·전라(5.3%p↑), 인천·경기(3.0%p↑) 등에서 올랐으나 대전·세종·충청(8.3%p↓), 서울(1.0%p↓) 등에서 내렸다. 국민의힘과 민주당의 지지도 격차는 오차범위 밖인 8.3%p였다.

정의당은 0.7%p 오른 2.4%, 진보당은 1.7%p 오른 2.4%, 기타 정당은 0.3%p 내린 7.4%로 각각 집계됐다. 직전 조사 대비 변동 폭은 모두 오차범위 내였다.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무당층은 6.3%로 오차범위 내인 1.9%p 하락했다. 무당층은 5주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정당 지지도 조사는 무선(97%)·유선(3%)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3.4%였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몽글몽글한 그 감성…인스타 꾸미기 고민이라면, '디지털 레트로' 어떠세요? [솔드아웃]
  • 산불·관세전쟁에 12.2조원 추경…"성장률 0.1%p 상승 효과"[필수추경]
  • 비트코인, 미 증시 혼조에도 상승…8만 달러 중반 넘어서나 [Bit코인]
  • “세종시 집값 심상찮네”…대통령실 이전설 재점화에 아파트값 상승 전환
  • 제주 찾는 전세계 MZ 관광객...유통업계, 특화 마케팅 한창[K-관광, 다시 혼저옵서]]
  • 호텔신라 신용강등 위험… 회사채 수요예측 앞두고 악재
  • 오프로드ㆍ슈퍼카로 고성능 시대 연 제네시스…국산 차의 '엔드게임' 노린다 [셀럽의카]
  • '재개발 끝판왕' 한남뉴타운, 시공사 속속 정해져도...다수 구역 여전히 지연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581,000
    • +0.4%
    • 이더리움
    • 2,310,000
    • +0.22%
    • 비트코인 캐시
    • 497,200
    • +4.15%
    • 리플
    • 3,010
    • -0.89%
    • 솔라나
    • 195,000
    • +1.62%
    • 에이다
    • 896
    • -0.11%
    • 이오스
    • 916
    • +3.62%
    • 트론
    • 353
    • -1.94%
    • 스텔라루멘
    • 353
    • +1.7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210
    • +3.21%
    • 체인링크
    • 18,260
    • +1.22%
    • 샌드박스
    • 378
    • +6.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