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로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에 그린메탄올 연료 공급

입력 2024-02-04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 선도

▲해양수산부는 2일 울산항에서 세계 최초로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에 대한 ‘선박 대 선박(ship to ship, STS) 방식’의 그린메탄올 공급이 성공적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사진제공=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는 2일 울산항에서 세계 최초로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에 대한 ‘선박 대 선박(ship to ship, STS) 방식’의 그린메탄올 공급이 성공적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사진제공=해양수산부)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에 그린메탄올 연료 공급에 성공했다.

해양수산부는 이달 2일 울산항에서 16k급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에 대한 ‘선박 대 선박(ship to ship, STS) 방식’의 그린메탄올 공급이 성공적으로 이뤄졌다고 4일 밝혔다.

그린메탄올은 황산화물 100%, 질소산화물 80% 및 탄소 저감 효과가 최대 95%에 달하는 친환경 선박연료다.

최근 머스크 등 글로벌 선사들이 발주한 메탄올 추진선의 인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메탄올의 선박 대 선박(STS) 방식 연료 공급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린메탄올 등 친환경 선박 연료 공급 거점항만을 구축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국제 항만 간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해수부는 메탄올 공급 자체안전관리계획 승인 업무지침 마련 등 관련 제도 기반을 정비하고 작년 7월과 11월, 2번의 메탄올 공급 실증을 통해 노하우를 축적했다.

특히 항만시설사용료 감면, 안전규제 신속 검토 지원 등을 통해 해외 항만과의 유치 경쟁을 뚫고 이번 실증 건을 성사시켰다.

이를 통해 우리 무역항이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 항만으로서 세계에서 입지를 더욱 단단히 다질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향후 국내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 산업의 성장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해수부는 앞으로도 메탄올 공급 표준작업절차를 마련하는 등 관련 제도를 고도화하고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의 경제성 확보를 위해 민간과도 지속해서 협력할 계획이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국제 해운분야의 ‘2050 순 탄소 배출량 ’0‘ 달성’이라는 목표 아래, 친환경 연료로의 전환이라는 세계적 흐름을 우리나라가 주도해 나갈 수 있도록 경쟁력 강화 지원 등 전방위적인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연금개혁 2차전…'자동조정장치' vs. '국고투입'
  • 게임에서 만나는 또 다른 일상…‘심즈’의 왕좌 노리는 크래프톤 ‘인조이’ [딥인더게임]
  • 로스쿨 합격자 과반이 ‘SKY’ 출신…10명 중 8명은 ‘인 서울’
  • 고소영, '남사친' 장동건 남편된 계기…"순둥이가 '친구' 찍고 남성미 생겨"
  • 서울시, 지하철 등 대규모 지하 굴착 공사장 집중 탐사…땅 꺼짐·붕괴 예방
  • 농심, 늘어나는 업무상 재해…‘시스템 변화’로 극복 잰걸음[유통업 지속가능 보고서 ⑥]
  • 한숨 돌린 삼성전자, 美 상호관세 부과에 스마트폰 제외
  • AIDT 안착되려면…"지역별 채택률 높여야" [교실혁명 AIDT]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678,000
    • +1.88%
    • 이더리움
    • 2,350,000
    • +3.89%
    • 비트코인 캐시
    • 491,300
    • +7.76%
    • 리플
    • 3,117
    • +6.02%
    • 솔라나
    • 190,800
    • +8.16%
    • 에이다
    • 946
    • +4.53%
    • 이오스
    • 972
    • +10.08%
    • 트론
    • 358
    • +1.42%
    • 스텔라루멘
    • 354
    • +3.8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570
    • +2.45%
    • 체인링크
    • 18,900
    • +3.28%
    • 샌드박스
    • 389
    • +3.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