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저출산 극복 기업 노력에…"세제 혜택 등 지원안 즉각 강구"

입력 2024-02-13 11: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윤석열 대통령이 5일 경기도 하남시 신우초등학교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 아홉 번째, 따뜻한 돌봄과 교육이 있는 늘봄학교'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 )
▲윤석열 대통령이 5일 경기도 하남시 신우초등학교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 아홉 번째, 따뜻한 돌봄과 교육이 있는 늘봄학교'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 )

윤석열 대통령이 저출산 극복을 위한 기업 차원의 노력이 확산되는 것에 13일 "다양한 지원 방안을 즉각 강구하라"고 주문했다.

김수경 대변인은 이날 오전 서면 브리핑에서 기업 차원의 저출산 문제 해결 노력에 대한 윤 대통령의 지시 사항을 전했다.

윤 대통령은 최근 기업이 저출산 문제 해결 차원에서 대규모 출산 지원금 지급, 육아 지원 등 지원책을 마련, 추진하는 것에 "상당히 고무적"이라는 평가도 했다.

이와 관련 2022년 기준 한국의 합계 출산율은 0.79명이다. 추계에 따르면 2025년 0.65명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윤 대통령은 이에 7일 오후 방영된 KBS 신년 대담에서 "대통령의 중요한 헌법상 책무가 바로 국가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가시적인 저출산 성과를 내는 데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이 과정에서 윤 대통령은 "일단 합계 출산률 1.0(명을) 목표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구체적인 수치도 제시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 같은 상황에 12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에 주형환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위촉하기도 했다.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가시적인 저출산·고령사회 관련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인선으로 풀이된다.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에 대해 "공직사회에서 추진력 있게 정책을 밀고 나가고 업무를 끈질기게 챙기는 데 정평이 난 정책전문가"로 평가한 대통령실은 "오랜 경륜과 풍부한 경제·사회 분야 정책 조정 경험, 탁월한 추진력을 바탕으로 윤석열 정부 저출산·고령사회 정책을 총괄 주도하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가시적 성과를 속도감 있게 만들어 나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속보 미중 “90일간 관세 일부 유예”…공동성명 발표
  • "내란세력" "가짜 진보" "압도적 새로움"…판 뒤집을 '한 방'은 아직
  • 수방사 前부관 “尹, 이진우에게 ‘총 쏴서라도 들어가’라고 지시”
  • SKT, 12일부터 유심 재설정 도입…대리점 직접 방문해야
  • “대권 꿈 깨셨으면 집에 가세요”…경선 탈락 광역단체장 복귀에 지역 민심 ‘부글’ [이슈크래커]
  • D램 3사, 가격 줄인상…관세 덮치는 하반기엔 더 오를듯
  • 삼성물산 vs 현대건설, '재건축 끝판왕' 압구정 2구역 쟁탈전 [정비사업 불꽃 수주전②]
  • 줄어든 식집사?…좋지만 번거로움에 멈춘 식물 키우기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624,000
    • +0.71%
    • 이더리움
    • 3,585,000
    • +2.02%
    • 비트코인 캐시
    • 583,000
    • +0.87%
    • 리플
    • 3,398
    • +2.6%
    • 솔라나
    • 246,700
    • +1.31%
    • 에이다
    • 1,158
    • +3.76%
    • 이오스
    • 1,305
    • +2.76%
    • 트론
    • 377
    • +2.72%
    • 스텔라루멘
    • 442
    • +3.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8,750
    • +0.77%
    • 체인링크
    • 24,360
    • +5.09%
    • 샌드박스
    • 516
    • +4.6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