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이센, 중동 최대 의료 전문기업 메가마인드와 제품 공급계약 체결

입력 2024-02-14 09:5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남기혁 웨이센 책임과 함자 메가마인드 회장이 계약서에 서명하고 있다. (사진제공=웨이센)
▲남기혁 웨이센 책임과 함자 메가마인드 회장이 계약서에 서명하고 있다. (사진제공=웨이센)

웨이센이 사우디아라비아 소재의 중동 최대 의료전문 기업 메가마인드와 의료 AI 솔루션 및 헬스케어 제품의 전략적 판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웨이센은 중동 의료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는 메가마인드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중동시장 내 인공지능 위, 대장 내시경 소프트웨어 웨이메드 엔도와 인공지능 호흡기 셀프스크리닝 서비스 웨이메드 코프 도입을 본격화한다.

메가마인드는 사우디아라비아에 있는 전문기업으로, 중동지역 내 11개의 그룹병원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현재사우디아라비아 정부의료기관 및 민간의료기관 40여 곳과 함께 디지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매년 15 ~25개의 중동 소재 병원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는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있으며, 정부 및 의료기관과 협력해 중동 지역 내 원격진료 및 의료데이터 디지털화를 통해 중동지역 의료기관의 디지털 혁신을 이끄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번 전략적 판매 계약은 웨이센의 주력 제품 라인업인 웨이메드 엔도와 웨이메드 코프를 포함할 뿐 아니라 차기 출시 제품 라인업까지 중동시장 진출을 위해 협력한다.

김경남 웨이센 대표는 “이번 계약을 시작으로 이르면 연내 메가마인드가 보유하고 있는 중동 11개 병원에서 인공지능 위/대장 내시경 소프프트웨어 ‘웨이메드 엔도’를 활용하게 될 것”이라며 “이미 중동 일부 병원에서 웨이메드 엔도의 실 사용 후기에 대한 의료진들의 긍정적 피드백이 있는 만큼 이번 기회를 잘 살려 중동 시장 내 성공적인 사례를 만들고자 한다”며 포부를 밝혔다.

함자 바터지 메가마인드 회장은 “중동 시장 내 고품질 내시경 의료서비스에 대한 갈망 그리고 호흡기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웨이센의 우수한 의료AI 기술의 가치를 중동시장 내 성공적으로 안착시킬 확신이 있기에 이번 계약을 체결했다”고 소감을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2세들의 광폭 행보…행정부 실세들의 '진짜' 역할은 [이슈크래커]
  • 충격적인 故김새론의 고백, ‘AI 조작’이라고? [해시태그]
  • ‘터졌다하면 수백억’…정치권 규제 프레임 갇힌다 [횡령의 땅, 규제의 그림자 下]
  • 32년 만에 성사된 리그1 vs 세리에A 챔스 결승…관련 징크스는? [이슈크래커]
  • 롯데컬처웍스·메가박스중앙 합병 MOU…‘위기의 영화산업’ 활로 찾는다
  • 아이들, '여자' 떼고 새 출발…이름 '싹' 바꾸는 엔터 업계, 왜 지금일까? [엔터로그]
  • 거세지는 위약금 면제 요구…SKT "7조원 이상 손실 예상"
  • 국민 절반은 울화통 안고 산다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2,064,000
    • +3.23%
    • 이더리움
    • 2,888,000
    • +11.76%
    • 비트코인 캐시
    • 591,000
    • +14.53%
    • 리플
    • 3,178
    • +5.13%
    • 솔라나
    • 226,700
    • +9.46%
    • 에이다
    • 1,038
    • +9.61%
    • 이오스
    • 1,197
    • +8.72%
    • 트론
    • 357
    • +2%
    • 스텔라루멘
    • 395
    • +7.6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700
    • +9.43%
    • 체인링크
    • 21,530
    • +11.21%
    • 샌드박스
    • 425
    • +10.9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