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민간 달 착륙선 발사…22일 달 남극 착륙

입력 2024-02-15 16: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우주기업 인튜이티브 머신(Intuitive Machines)의 달 착륙선을 실은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이 준비되고 있다. 케이프커내버럴(미국)/UPI연합뉴스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우주기업 인튜이티브 머신(Intuitive Machines)의 달 착륙선을 실은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이 준비되고 있다. 케이프커내버럴(미국)/UPI연합뉴스

미국 민간 우주업체 '인튜이티브 머신스'가 개발한 달 착륙선 오디세우스가 발사됐다.

15일(현지시간) 인튜이티브 머신스에 따르면 이날 오전 1시(동부시간)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발사장에서 달 착륙선 '오디세우스'를 스페이스X의 로켓에 실어 발사했다. 이 탐사선은 애초 전날 발사 예정이었으나 일정이 하루 연기됐다.

탐사선의 착륙이 성공하면 세계 최초의 민간 달 탐사선이다. 동시에 1972년 12월 아폴로 17호 임무 이후 51년여 만에 달에 착륙한 미국 우주선이 된다.

달 착륙선 '오디세우스'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달 탐사 프로젝트 '아르테미스'와 연계된 '민간 달 탑재체 수송 서비스'(CLPS) 두 번째 프로젝트 가운데 하나다.

NASA는 달 착륙선 등을 직접 개발하기보다 민간 업체들이 서로 경쟁하면서 개발하는 방식이 더 저렴하고 빠르게 여러 대의 우주선을 만들어내 달 탐사를 진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NASA와 CLPS 계약을 맺은 기업 중 애스트로보틱이 지난달 8일 달 착륙선 '페레그린'을 우주로 발사했지만, 이 첫 시도는 실패로 끝났다. 발사 후 몇 시간 만에 연료 누출 등 문제가 발생해 달 착륙을 시도조차 하지 못하고 열흘 뒤 대기권에 재진입해 불타 사라졌다.

계획대로라면 이번에 발사되는 오디세우스는 지구를 떠난 뒤 약 일주일 동안 우주를 비행하다 오는 22일 달의 남극 표면에 착륙하게 된다. 오디세우스는 공중전화 부스 크기 정도다.

▲이번 달 탐사선은 공중전화 부스 크기 정도다.  (출처=인튜이티브 머신스)
▲이번 달 탐사선은 공중전화 부스 크기 정도다. (출처=인튜이티브 머신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비트코인, 미 증시 혼조에도 상승…8만 달러 중반 넘어서나 [Bit코인]
  • 제주 찾는 전세계 MZ 관광객...유통업계, 특화 마케팅 한창[K-관광, 다시 혼저옵서]]
  • 호텔신라 신용강등 위험… 회사채 수요예측 앞두고 악재
  • 오프로드ㆍ슈퍼카로 고성능 시대 연 제네시스…국산 차의 '엔드게임' 노린다 [셀럽의카]
  • '재개발 끝판왕' 한남뉴타운, 시공사 속속 정해져도...다수 구역 여전히 지연
  • 시총 두 배 ‘빅딜 효과’…K-제약·바이오, 빅파마와 거래로 성장동력 확보
  • 지방 금융 3사, ‘지역 기업 리스크’에 1분기 실적 희비 교차
  • ‘퇴임’ 문형배 “정치적 교착상태 해소하려면 헌재 결정 존중해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477,000
    • +0.12%
    • 이더리움
    • 2,285,000
    • -1.25%
    • 비트코인 캐시
    • 479,000
    • -0.62%
    • 리플
    • 2,986
    • -1.35%
    • 솔라나
    • 194,400
    • +0.31%
    • 에이다
    • 889
    • -0.89%
    • 이오스
    • 904
    • +2.73%
    • 트론
    • 355
    • +0%
    • 스텔라루멘
    • 349
    • +1.4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130
    • +1.03%
    • 체인링크
    • 18,270
    • +0.27%
    • 샌드박스
    • 369
    • +2.2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