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상업용 시스템 에어컨에 'AI 고장 예측' 기능 도입

입력 2024-02-20 10: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상업용 시스템 에어컨 고장 가능성 사전 예측

▲LG전자 시스템 에어컨 유지보수 자회사 하이엠솔루텍은 LG 비콘클라우드 ‘AI 고장예측’ 기능의 분석 결과 토대로 고장 발생 가능성을 고객에게 안내하고 서비스 엔지니어는 이상 신호 부분을 진단해 조치한다. (사진제공=LG전자)
▲LG전자 시스템 에어컨 유지보수 자회사 하이엠솔루텍은 LG 비콘클라우드 ‘AI 고장예측’ 기능의 분석 결과 토대로 고장 발생 가능성을 고객에게 안내하고 서비스 엔지니어는 이상 신호 부분을 진단해 조치한다. (사진제공=LG전자)

LG전자는 국내 최초 ICT 기반의 상업용 시스템 에어컨 원격 유지보수 시스템인 LG 비콘클라우드에 ‘AI 고장예측’ 기능을 도입한다고 20일 밝혔다.

LG 비콘클라우드는 시스템 에어컨 운전 상태와 제어, 고장 여부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관리 솔루션이다. 올해 2월 말부터는 AI로 고장 발생 가능성까지 예측하는 솔루션이 추가된다.

‘AI 고장예측’ 기능은 기기에 이상 신호가 발견되면 빅데이터 기반으로 고장 징후를 정교하게 예측해 낸다. △팬·모터 계통 △압축기 계통 △냉매 계통 △센서·배수펌프 계통 등 기기를 체계적으로 나눠 분석하기 때문에 정확도도 높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시스템 에어컨 유지보수 자회사 하이엠솔루텍은 LG 비콘클라우드 ‘AI 고장예측’ 기능의 분석 결과 토대로 고장 발생 가능성을 고객에게 안내하고 서비스 엔지니어는 이상 신호 부분을 진단해 신속하고 정확히 조치한다. 이러한 사전 예방 조치로 여름과 겨울 성수기에 서비스가 몰리는 것을 방지한다.

고객은 미리 조치를 받을 수 있어 고장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의료시설, 숙박업소, 공장 등 냉난방이 상시 필요한 기업간 거래(B2B) 시설에서 이 기능이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LG전자 관계자는 "AI 고장예측 기능 개발을 완료한 지난해부터 약 1년간의 검증을 거쳤으며, 앞으로도 지속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재 고장 예측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제품은 멀티브이 슈퍼(Multi V Super)4, 5 모델과 22년 10월에 AI 엔진이 탑재돼 출시된 멀티브이 아이(MULTI V i) 등이다. LG전자는 ‘AI 고장예측’ 기능이 가능한 제품을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

유광열 하이엠솔루텍 대표는 “기술을 고도화하고 지속 업그레이드해 공조 유지보수 서비스에서 최고의 전문성으로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붕괴 사고'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밤샘수색…1명 구조·1명 실종
  • 게임에서 만나는 또 다른 일상…‘심즈’의 왕좌 노리는 크래프톤 ‘인조이’ [딥인더게임]
  • 침팬지 탈을 쓰고나온 로비 윌리엄스…'위대한 쇼맨'의 서사 [시네마천국]
  • "이번 주 지나면 내년에 봐야"…올해 마지막 벚꽃 보려면 어디로? [주말N축제]
  • 뉴욕증시, 역사적 급등락 주간 강세로 마무리…나스닥 2.06%↑
  • 서울 지하철로 떠나는 벚꽃 여행
  • 육사, ‘필기’ 없는 전형 신설…생기부로 평가한다
  •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 공개…넷플릭스, 신작 출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752,000
    • +1.79%
    • 이더리움
    • 2,389,000
    • +4.55%
    • 비트코인 캐시
    • 498,500
    • +9.3%
    • 리플
    • 3,127
    • +5.89%
    • 솔라나
    • 191,800
    • +8.67%
    • 에이다
    • 959
    • +5.04%
    • 이오스
    • 995
    • +9.34%
    • 트론
    • 357
    • +0.56%
    • 스텔라루멘
    • 358
    • +4.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390
    • +3.83%
    • 체인링크
    • 19,100
    • +3.19%
    • 샌드박스
    • 394
    • +3.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