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잉ㆍ에어버스에 도전장…중국산 여객기 C919, 주문만 벌써 1000대↑

입력 2024-02-20 16: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 보잉과 유럽 에어버스가 시장을 나눠 쥐고 있는 글로벌 여객기 시장에 중국이 본격적으로 도전장을 던졌다. 중형과 중소형 여객기 2종을 앞세워 수출을 확대하는 한편,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에어쇼에 나서는 등 운신의 폭을 확대하고 있다. 자국에서 주문받은 물량만 무려 1061대나 된다.

20일 중국 신화통신과 환구시보 등에 따르면 “중국이 자체 생산한 첫 중형 여객기 C919가 국제 에어쇼에 데뷔하며 관심을 모았다”라며 “싱가포르 창이국제공항에서 열리는 에어쇼에 참가한다”고 전했다.

C919는 중국상용항공기 ‘COMAC(코멕)’이 개발했다. 2006년 연구에 착수해 2022년 9월 중국 항공 당국으로부터 상용비행을 위한 최종 절차인 감항 인증(항공기의 안전 비행 성능 인증)을 받았다. 이후 브루나이와 인도네시아 등에 일부 수출도 시작했다.

해당 기종은 기내 통로가 하나인 중형 여객기다. 길이 38.9m, 너비와 높이는 각각 35.8m와 11.95m다.

탑승 좌석은 164석에서 최대 198석까지 시트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생산할 수 있다. 복도를 중심으로 좌우 3열 좌석을 갖췄고 대당 가격은 약 1억 달러(약 1300억 원)로 알려졌다.

2022년 감항 인증을 받은 이후 브루나이 항공사 갤럽에어(GallopAir)가 15대를 주문했다. C919보다 크기가 작은 소형 여객기 ARJ-21도 15대 주문했다. 환구시보에 따르면 30대 항공기의 구매 가격은 20억 달러(약 2조7000억 원)에 달한다. 이밖에 도네시아 트랜스누사항공(Transnusa Airlines)도 ARJ-21 2대를 구매했다.

중형과 소형 기체를 각각 한 종씩 보유 중이지만 에어버스와 보잉 못잖은 자금력과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빠르게 중소형 여객기 시장의 점유율을 확보할 것으로 관측된다. 폭발적으로 증가 중인 중국 내 항공 수요 덕분이다.

COMAC는 신화통신을 통해 “지금까지 중국 내에서 주문받은 C919는 총 1061대에 달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몽글몽글한 그 감성…인스타 꾸미기 고민이라면, '디지털 레트로' 어떠세요? [솔드아웃]
  • 산불·관세전쟁에 12.2조원 추경…"성장률 0.1%p 상승 효과"[필수추경]
  • 비트코인, 미 증시 혼조에도 상승…8만 달러 중반 넘어서나 [Bit코인]
  • “세종시 집값 심상찮네”…대통령실 이전설 재점화에 아파트값 상승 전환
  • 제주 찾는 전세계 MZ 관광객...유통업계, 특화 마케팅 한창[K-관광, 다시 혼저옵서]]
  • 호텔신라 신용강등 위험… 회사채 수요예측 앞두고 악재
  • 오프로드ㆍ슈퍼카로 고성능 시대 연 제네시스…국산 차의 '엔드게임' 노린다 [셀럽의카]
  • '재개발 끝판왕' 한남뉴타운, 시공사 속속 정해져도...다수 구역 여전히 지연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531,000
    • +0.43%
    • 이더리움
    • 2,305,000
    • +0.17%
    • 비트코인 캐시
    • 497,100
    • +3.89%
    • 리플
    • 3,003
    • -0.79%
    • 솔라나
    • 195,000
    • +1.56%
    • 에이다
    • 893
    • -0.11%
    • 이오스
    • 908
    • +3.42%
    • 트론
    • 353
    • -1.67%
    • 스텔라루멘
    • 352
    • +2.0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190
    • +2.92%
    • 체인링크
    • 18,230
    • +1.56%
    • 샌드박스
    • 377
    • +5.3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