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빗, 지정가 알림 신규 출시 등 모바일 앱 업데이트

입력 2024-02-28 09:0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빗 모바일 앱 3가지 업데이트
지정가 알림, 개인 지갑 주소 간편 등록
OK캐쉬백 포인트를 원화 포인트로 전환 시 편의성 개선

(사진제공=코빗)
(사진제공=코빗)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은 지정가 알림 서비스 신규 출시 등 모바일 앱 기능 3가지 업데이트를 단행했다고 28일 밝혔다.

우선 지정가 알림은 이용자가 원하는 가상자산의 희망 가격이 도달했을 때 알림 기능을 미리 설정하면 해당 가상자산이 정했던 가격에 도달했을 때 앱 푸시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다.

지정가 설정은 최대 30개까지 가능하며 본 기능은 안드로이드와 iOS 코빗 앱 9.2.0 버전 이상에서만 지원되기 때문에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앱 버전 확인 및 사전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최근 가상자산의 시세 변동이 커지는 상황이기 때문에 지정가 알림 서비스는 시장 동향을 쉽고 빠르게 파악하고 효과적인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그간 웹에서만 제공하던 개인 지갑 주소 간편 등록 기능을 이제부터 앱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따라서 코빗 앱 이용자들은 향후 간편 등록 기능을 활용해 가상자산 출금 시 클립(Klip)이나 메타마스크(Metamask)와 같은 개인 지갑으로도 자유롭게 출금할 수 있다.

지난해 4월부터 코빗이 제공 중인 OK캐쉬백 포인트를 원화(KRW) 포인트로 전환하는 서비스의 편의성도 크게 향상된다. 기존에는 OK캐쉬백 포인트 조회 시 OK캐쉬백 온라인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했기 때문에 해당 비밀번호를 잊어버린 고객으로서는 번거로움이 많았다. 이에 이번 개선에서는 이와 같은 본인 확인 절차를 코빗 앱 자체의 인증으로 대체할 수 있게 됐다.

이정우 코빗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코빗은 이번 지정가 알림 기능 신규 출시 등의 앱 업데이트로 고객의 성공적인 가상자산 투자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코빗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편의성 개선을 통해 고객 만족도 제고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시총 90% 증발한 만트라 코인…'먹튀'냐 '조정'이냐 대혼돈
  • 오세훈·유승민 지지표 한동훈으로...尹, 홍준표 지지시 요동[디지트라다무스:AI무당]
  • 치솟은 美국채 금리에 채권개미 ‘엑소더스’
  • '최강야구'에서 '불꽃야구' 준비 마친 박용택…새 장비 스포됐다
  • ‘관세 리스크’ 악재인가 반사이익인가…셈법 복잡한 HMM
  • 아무도 안온다… 엑시트만 남은 10년의 민낯 [脫 한국, 실패한 리쇼어링①]
  • 눈 뜨면 달라지는 美 관세 정책…롤러코스터 타는 기업들 '패닉'
  • "사람인 줄 알았는데"…내가 선택한 남자친구가 AI라고? [이슈크래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5 11:3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900,000
    • -0.48%
    • 이더리움
    • 2,347,000
    • -1.88%
    • 비트코인 캐시
    • 467,500
    • -10.95%
    • 리플
    • 3,077
    • -2.04%
    • 솔라나
    • 186,400
    • -4.8%
    • 에이다
    • 918
    • -3.06%
    • 이오스
    • 887
    • -3.06%
    • 트론
    • 364
    • -2.15%
    • 스텔라루멘
    • 347
    • -1.9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700
    • -3.49%
    • 체인링크
    • 18,240
    • -3.75%
    • 샌드박스
    • 370
    • -4.3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