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ARPA-H 프로젝트’ 성공 이끌 인재 찾는다

입력 2024-02-29 16: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3월 22일까지 채용 공고…“미션 지향 중심 기획…실패 용인 구조”

▲정은영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이 한국형 ARPA-H(KARPA-H) 프로젝트 관리자(PM) 선정을 위한 채용설명회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노상우 기자 nswreal@)
▲정은영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이 한국형 ARPA-H(KARPA-H) 프로젝트 관리자(PM) 선정을 위한 채용설명회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노상우 기자 nswreal@)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보건의료 난제를 해결하고 사회·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연구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한국형 ARPA-H(KARPA-H) 프로젝트 관리자(PM) 선정 채용설명회를 29일 서울 강남구 슈피겐홀에서 개최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며 전 세계는 여러 감염병 대응체계 등 보건안보기술에 대한 필요성을 절감했다. 한국은 2025년 인구의 25%가 65세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해 고령 인구의 건강관리 돌봄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상황이다.

해외에서도 국가 보건 난제를 신속히 해결하기 위한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미국은 코로나19를 거치며 기존 R&D 체계의 한계를 체감하고 도전·혁신적 연구를 중점 지원해 인터넷, GPS 등 혁신기술 개발의 요람이 된 고등연구계획국(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DARPA) 모델을 바이오 분야에 접목한 ARPA-H를 2022년 전격 설립했다. 영국과 일본 등에서도 DARPA 모델을 도입해 R&D 혁신체계로 전환하고 있다.

이에 정부도 한국형 ARPA-H 프로젝트를 올해 1월부터 가동했다. 2월 15일 추진단장으로 선경 경희대 의과대학 교수를 임명했고, 이번 공모를 통해 PM을 채용해 ‘KARPA-H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KARPA-H 프로젝트는 ‘전 국민의 건강향상을 위한 담대한 도전’이라는 비전으로 △백신·치료제 주권확보로 보건안보확립 △암·희귀·난치질환 등 미정복 질환 극복 △바이오헬스산업의 판도를 바꾸는 초격차 기술 확보 △초고령 사회 대응 지속가능 복지 돌봄 서비스 개선 △지역완결형 필수의료 혁신기술 확보 등을 미션으로 한다.

차순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원장은 “PM은 그동안의 연구개발 방식에서 탈피해 더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시각을 가진 관리자의 역할을 맡아야 한다. 전통적인 분야에 얽매이지 않고 도전적이고 영향력있는 목표로 나아가면 대담한 아이디어와 혁신성을 가진 인재가 많이 지원해달라”고 당부했다.

KARPA-H 사업의 가장 핵심은 실패를 용인하는 구조란 점이다. 선경 KARPA-H 추진단장은 “한 번도 시도해보지 않은 아이디어와 기술이므로 실패를 용인하는 도전적인 자세가 필요하다”라면서 “임무 중심형 R&D 정책 기류 속에 보건의료 R&D 재편을 위한 변화의 여정을 함께할 용기 있는 지원자들을 기다린다”라고 말했다.

기존 과제는 연구 중간과정에서 실패하면 과제를 종료한다. 하지만 KARPA-H 프로젝트는 그 과정에서 쌓인 지식도 성과로 인정한다. 임무 진행 단계별로 별도의 성패 기준을 마련하고, 다양한 출구 전략이 있다.

KARPA-H 프로젝트 PM은 도전적인 문제 발굴, 연구과제 선정·평가·관리, 마일스톤 설정 및 수정·보완사항 등 R&D 전주기를 맡는다. △보건안보확립 △미정복 질환 극복 △바이오헬스 혁신 △복지·돌봄 개선 등 총 4명의 PM을 채용할 계획이다.

채용공고는 이날부터 3월 22일까지 게시된다. 성별·나이 등에 제한은 없으며, 서류전형-발표평가-토론평가 및 심층 면접을 거친다. 최종 임용 대상자는 5월 3일 통보한다. 상급을 원칙으로 기본급은 약 2억 원 내외, 추가 성과급은 별도 지급된다. 계약 기간은 3년이다.

정은영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KARPA-H 프로젝트가 제도적으로 정착되면 한국에서 노벨상 수상자가 나올 수도 있고, 초격차 기술을 확보할 수도 있다. 프로젝트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복지부에서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또 고개 숙인 백종원 “모든 방송 활동 중단, 더본코리아 경영에 집중”
  • 버핏 빈자리 메울까…에이블의 버크셔에 쏠린 눈
  • [르포]‘갓 수확·갓 착즙·갓 배송을 원칙으로’…풀무원녹즙 도안공장[녹즙의 재발견]
  • 韓 의약품에 美 관세?…정부 “공급망 안정 기여, 관세조치 불필요”
  • 이창용 “환율 예단 어려워…정치 불확실성 빨리 끝내야”
  • 관세 공포·요동치는 환율…아시아 증시서 발 빼는 개미들
  • 세종 아파트, 전세도 '들썩'…"공급 가뭄에 오를 수밖에"
  • 국힘 대선후보 단일화 격랑…金 "후보 일정 중단", 韓 "실패하면 국민 배신"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338,000
    • +0.19%
    • 이더리움
    • 2,516,000
    • -2.29%
    • 비트코인 캐시
    • 503,500
    • -0.2%
    • 리플
    • 3,019
    • -0.36%
    • 솔라나
    • 203,500
    • -1.36%
    • 에이다
    • 927
    • -1.49%
    • 이오스
    • 966
    • -3.78%
    • 트론
    • 348
    • -1.97%
    • 스텔라루멘
    • 362
    • -1.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450
    • -3.9%
    • 체인링크
    • 19,130
    • -1.39%
    • 샌드박스
    • 379
    • -2.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