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수출이 5개월 연속 증가세다. 수출 업종별 불균형이 나타나는 가운데 반도체 수출 모멘텀의 독주가 눈에 띄고 있다. 대미 반도체 수출은 물론 대중화권 반도체 수출이 동반 호조를 보이면서 2016~2018년, 2020~2021년 반도체 수출 빅사이클이 재연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나온다.
4일 하이투자증권은 "2월 수출 증가율은 수출 경기의 본격적 회복국면 진입을 뒷받침해주는 수치로 2월 수출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반도체 수출"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국내 2월 수출 경기는 조업일수 감소와 중국 춘제 연휴라는 계절적 요인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4.8% 증가했다. 지난해 11월 수출증가율은 12.9%로 이 플러스 전환한 이후 △12월 21.7% △ 1월 56.2%로 상승세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특히 반도체 수출 증가율은 전년 대비 66.7%로 큰 폭 증가세를 보였다.
대미 반도체 수출은 지난해 같은 달 보다 146.3%나 급증했고, 대중국 반도체 수출 역시 26.7% 증가했다. 하이투자증권에 따르면 반도체 수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대홍콩 2월 수출이 지난해보다 100% 넘게 증가한 점을 고려하면 대홍콩 반도세 수출증가율 역시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주력시장에서 반도체 수출이 동반 회복세를 보여주고 있음이 고무적"이라며 "AI 붐 현상이 국내 반도체 수출 호조로 이어지는 듯하다. 단순히 대미국 반도체 수출뿐만 아니라 그동안 부진했던 대중화권 반도체 수출 회복 등 반도체 수출 온기가 확산되는 분위기"라고 짚었다.
당분간 반도체 수출을 중심으로 국내 수출 경기 회복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박 연구원은 "2016~2018년, 2020~2021년 반도체 수출 빅사이클의 재연 가능성도 점점 더 커지고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대중 반도체 수출회복에 힘입어 대중국 무역수지가 17개월 만에 플러스 전환했음도 반도체 수출회복의 또 다른 연쇄 효과"라고 설명했다.
아쉬운 점은 반도체 업종만 수출 회복을 보이는 점이다. 일부 IT 업종의 수출증가율이 플러스를 기록했지만, 기저효과를 고려하면 큰 의미를 부여하기 어렵다. 더욱이 반도체와 더불어 국내 수출의 쌍두마차인 자동차 수출증가율은 전년 같은 달보다 역성장(-7.8%)을 기록했다.
박 연구원은 "반도체, 조선 및 자동차를 제외한 여타 국내 주력제품은 글로벌 제조업 경기의 동반 부진세가 국내 수출 경기 회복세 및 업종별 수출 강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2월 ISM 제조업 지수와 중국 제조업 PMI 지수가 실망스러운 수준에 그치는 등 글로벌 제조업 경기의 더딘 회복세를 고려하면 국내 수출의 업종별 불균형 회복 흐름이 단기간에 해소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했다.
국내 수출 경기가 업종별 수출 차별화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중국 양회 결과에 주목했다. 이번 양회에서 중국 정부가 5% 수준의 성장률 목표 제시와 함께 과감한 재정확대 정책을 내놓을지에 따라 국내의 대중국 수출 회복 흐름을 좌우할 공산이 높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가 부동산 리스크 해소 혹은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 추가 대책을 내놓을지도 국내 수출 경기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