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몬스침대 "리빙페어 성료...총 4만명 방문"

입력 2024-03-04 10: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3일까지 5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4 서울리빙디자인페어'의 시몬스침대 부스에 총 4만 명의 관람객이 방문했다.  (사진제공=시몬스침대 )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3일까지 5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4 서울리빙디자인페어'의 시몬스침대 부스에 총 4만 명의 관람객이 방문했다. (사진제공=시몬스침대 )

시몬스침대는 2월 28일~3월 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4 서울리빙디자인페어(리빙페어)’에 개막 첫날부터 5000여 명이 방문해 총 4만 명의 누적 방문객을 기록했다고 4일 밝혔다.

시몬스 관계자는 "5일간 하루 평균 1억 원이 넘는 총 5억5000만 원의 매출을 올렸다"며 "국내 최대 규모 리빙 박람회인 리빙페어의 집객력과 매출 파워를 실감했다"고 말했다.

시몬스침대는 이번 리빙페어에서 올해 참가 기업 중 가장 큰 규모로 부스를 조성했다. 콘셉트는 ‘ESG 랜드마크’다.

부스는 ‘The Greater Together’를 주제로 전시존과 제품존으로 꾸려졌다. 전시존에선 대형 스크린을 통한 22인의 인터뷰 영상으로 ESG의 정의와 방향성을 알렸다. 제품존에선 아이슬란드 청정지역을 형상화해 비건(Vegan)과 친환경을 강조했다. 특히 제품존은 ESG 침대로 알려진 ‘뷰티레스트 1925’와 국내 침대업계 최초로 동물성 소재를 사용하지 않은 비건 매트리스 ‘N32’를 체험하려는 관람객들이 몰렸다.

김성준 시몬스 브랜드전략부문 부사장은 "불황이 길어지며 업계가 전반적으로 위축돼 있지만, 이럴 때일수록 리딩 브랜드가 지속가능성에 대해 목소리를 높일 필요가 있다"며 "이번 리빙페어를 통해 시몬스는 미래 세대를 위해 앞으로 리빙 브랜드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함께 고민해 볼 것을 제안한다“고 설명했다.

시몬스는 감각적인 인테리어와 의미 있는 부스 조성으로 리빙페어 주최사 디자인하우스로부터 ‘눈에 띄는 공간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야구장부터 테마파크까지…캐릭터가 '어른이'들을 홀린 비결 [이슈크래커]
  • 5월 2일 임시공휴일 무산됐지만 권장휴무 됐다?...대감집 노비들의 이야기 [해시태그]
  • "SKT 20년 이용했는데 해킹이라니"…전국 대리점 '유심 대란'
  • 빅텐트 최강조합 '한덕석'…"李 꺾을 확률 가장 높다" [디지트라다무스:AI무당]
  • 소방청, 대구 북구 산불 관련 '국가 소방동원령' 발령
  • “탄핵 찬성, 반대?” 사회 곳곳에 나타나는 ‘십자가 밟기’ [서초동 MSG]
  • 청주 고교서 특수교육 학생 흉기 난동… 교장 등 6명 부상 [종합]
  • 안전 운전도 하고, 벌점 감경 포인트도 쌓고…‘착한운전 마일리지’는? [경제한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427,000
    • -0.18%
    • 이더리움
    • 2,546,000
    • -1.77%
    • 비트코인 캐시
    • 500,000
    • -1.19%
    • 리플
    • 3,283
    • +1.99%
    • 솔라나
    • 211,500
    • -1.49%
    • 에이다
    • 1,000
    • -0.4%
    • 이오스
    • 995
    • +3.97%
    • 트론
    • 357
    • -0.56%
    • 스텔라루멘
    • 407
    • -0.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000
    • -4.28%
    • 체인링크
    • 21,050
    • +0.53%
    • 샌드박스
    • 427
    • -0.2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