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펀드 재미 못 본 사우디, AI 직접 투자 나선다…400억 달러 기금 조성

입력 2024-03-20 14: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PIF, 앤드리슨호로위츠 등과 파트너십 논의
하반기 새 투자 착수 전망
오일머니 앞세워 단숨에 ‘큰손’ 떠오를 듯
자체적인 AI 회사 설립도 고려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가 지난해 12월 6일 리야드에서 한 회동 도중 미소를 짓고 있다. 리야드/AP뉴시스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가 지난해 12월 6일 리야드에서 한 회동 도중 미소를 짓고 있다. 리야드/AP뉴시스
사우디아라비아가 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그룹 회장의 비전펀드에 거액을 투자했으나 별다른 재미를 보지 못한 뒤 인공지능(AI) 분야에 직접 대규모로 베팅할 준비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타임스(NYT)는 19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사우디 정부가 AI에 투자하기 위해 약 400억 달러(약 53조5520억 원) 규모의 기금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사우디 실권자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이끄는 국부펀드 공공투자펀드(PIF)는 최근 실리콘밸리 최고 벤처캐피털 업체 앤드리슨호로위츠 등과 파트너십을 체결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PIF 관계자들은 최근 논의에서 AI 펀드를 어떻게 운용할지와 앤드리슨호로위츠가 이 펀드에서 어떠한 역할을 할 것인지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눈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계획은 사우디의 글로벌 비즈니스 야망과 함께 경제 다각화 및 지정학적 영향력을 키우려는 노력을 잘 보여준다고 NYT는 짚었다.

사우디는 올해 하반기 새로운 투자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중동 오일머니로 무장한 사우디가 이러한 계획을 추진하게 되면 최근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는 AI 분야의 세계 최대 투자자로 단숨에 급부상하게 될 전망이다.

또 사우디는 반도체 제조사와 AI 관련 스타트업 지원은 물론 자체적인 AI 회사 설립 방안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사우디는 그동안 IT 부문에 막대한 돈을 투자했으나 전반적으로 큰 성과를 보지 못했다. 앞서 사우디는 2016년 차량 공유업체 우버에 35억 달러를 쏟아부었다. 또 소프트뱅크가 조성한 1000억 달러 규모의 비전펀드에 450억 달러 자금을 댔다. 하지만 이 자금은 현재 AI 열풍을 이끄는 엔비디아 같은 업체에 투자된 것이 아니라, 지금은 파산한 위워크나 로봇 피자 제조회사 줌 등 다른 실패한 스타트업에 투입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경제사령탑 부재에 韓경제 적신호...'0%대 성장률' 현실화하나
  • 폐업자·영세사업자 재기 지원…은행권, 금융안전망 구축
  • 캐즘 늪 빠진 K배터리, 허리띠 졸라매고 신시장 공략
  • 메모리 시장에서 밀린 삼성전자…반전 노릴 '킥'은 [ET의 칩스토리]
  • 턴제 RPG와 액션 RPG의 조합, ‘클레르 옵스퀴르:33원정대’ [딥인더게임]
  • 4월 아파트 거래 어디로 쏠렸나?…토허제 풍선효과에 양천·마포 ‘집중’
  • 5월 연휴 끝나면 美 FOMC…고용·기대 인플레 변화 핵심
  • 돈 없는데 어린이날에 어버이날까지…예상 지출 금액은 '39만 원'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130,000
    • -1%
    • 이더리움
    • 2,611,000
    • -0.68%
    • 비트코인 캐시
    • 514,000
    • -1.06%
    • 리플
    • 3,112
    • -0.86%
    • 솔라나
    • 208,300
    • -0.67%
    • 에이다
    • 975
    • -2.4%
    • 이오스
    • 1,011
    • -1.65%
    • 트론
    • 356
    • +0.85%
    • 스텔라루멘
    • 384
    • -0.2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400
    • +1.81%
    • 체인링크
    • 20,070
    • -1.38%
    • 샌드박스
    • 399
    • -0.7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