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카드 사용하고 합산 결제도 가능”...신규 ‘서울페이+’ 내달 출시

입력 2024-03-24 11: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자료제공=서울시)
(자료제공=서울시)

서울시민의 스마트 소비 플랫폼 ‘서울페이플러스(+)’가 새 단장에 들어갔다. 서울사랑상품권 구매, 결제, 취소 기능을 개선해 사용자 편의를 끌어올렸다. 안정성 테스트를 거쳐 내달 22일 첫선을 보일 예정이다.

24일 서울시는 올해 서울사랑상품권 판매대행점이 ‘신한컨소시엄’에서 ‘비즈플레이컨소시엄’으로 변경되면서 신규 ‘서울페이+’ 앱 개발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2022년 출시된 서울페이+는 서울사랑상품권 결제앱으로, 할인 혜택을 제공해 가계경제 부담을 완화하고 골목상권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했다. 2년간 발행 규모만 2조4017억 원에 달했다. 서울시 주요 행정과 생활금융 서비스도 제공, 똑똑한 결제 앱으로 평가됐다.

신규 ‘서울페이+’는 이용자 중심으로 기능을 대폭 개선했다. 우선 다양한 카드로 상품권을 구매할 수 있다. 기존엔 신한카드로만 상품권 구매가 가능했지만, 신규 앱에서는 하나·삼성·국민·현대 등 다양한 카드를 이용해 월 100만 원까지 통합 관리할 수 있다.

상품권 합산 결제 기능도 도입했다. 가맹점에서 광역과 지역 상품권 등 2개 종류 이상의 상품권으로 결제 가능하다. 취소 후 상품권 복원도 빨라졌다. 기존에는 당일 취소만 즉시 복원됐으나 신규 ‘서울페이+’에서는 취소일 관계없이 결제 취소 즉시 상품권이 복원된다. 온라인 결제시에도 상품권 합산·복합 결제할 수 있고 장바구니 부분 취소도 가능하다.

5500개 가맹점을 대상으로 사전 결제테스트, 충분한 용량의 서버 구축으로 안정성도 확보한다. 선물하기 수령한도 제한으로 건전한 상품권 유통도 도모한다.

서울시는 내달 22일 신규 ‘서울페이+’ 출시를 앞두고 사전 준비에 들어갔다. 기존 앱 선물하기 및 법인상품권 홈페이지가 지난달 종료됐다. 28일 터치결제 등 부가서비스, 31일 상품권 판매·공공배달 및 e서울사랑샵, 내달 10일 손목닥터 전환이 단계적으로 종료된다. 사용자 206만 명, 상품권 3428억 원, 가맹점 27만 개 등 데이터가 신규 판매대행점으로 이전되는 내달 15일 00시부터 22일 오전 9시까지 ‘서울페이+’ 앱이 중단된다. 신규 앱은 기존 서울페이+ 앱에서 안내되는 설치 주소 클릭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박진수 서울시 상품권운영팀장은 “판매대행점을 새로 선정하면서 기술 검증 과정을 꼼꼼하게 거쳤고 서비스 질은 높인 반면 비용은 낮췄다”면서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신규 서울페이+ 앱을 안전하게 출시한 후 적극적으로 상품권을 발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부산 강서구 경찰사격장 총기 오발 사고…20대 경찰 중태
  • 미국, H20 칩 중국 수출 제한…“엔비디아, 분기 55억 달러 손실 전망”
  • 중국, 1분기 5.4% 깜짝 성장률 기록했지만…무역전쟁 먹구름
  • 늘어나면 자사주 취득·소각…주가 부양 효과는
  • 단독 금감원 1332 '원스톱 연결 시스템' 도입…서민금융 상담 쉬워진다
  • 먹는 비만약 개발 어렵나…암젠 이어 화이자 비만치료제 임상 중단
  • 단독 영화관 3사 장애인 관람석 300개 이상 줄었다…통계 자료도 미비
  • 부자들이 달라졌다…부동산보다 금ㆍ채권 투자 '주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6 14:4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752,000
    • -1.81%
    • 이더리움
    • 2,296,000
    • -3.45%
    • 비트코인 캐시
    • 467,000
    • -3.11%
    • 리플
    • 3,019
    • -2.96%
    • 솔라나
    • 182,900
    • -3.94%
    • 에이다
    • 885
    • -4.84%
    • 이오스
    • 878
    • -1.57%
    • 트론
    • 368
    • +0.55%
    • 스텔라루멘
    • 342
    • -1.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200
    • -2.05%
    • 체인링크
    • 17,850
    • -3.2%
    • 샌드박스
    • 362
    • -3.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