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산연, 주택공급 활성화와 부동산금융 시장 안정 정책세미나 개최

입력 2024-03-26 11: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2일 오후 2시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주택공급 활성화와 부동산금융 시장 안정을 위한 정책세미나'를 개최한다. (자료제공=한국건설산업연구원)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2일 오후 2시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주택공급 활성화와 부동산금융 시장 안정을 위한 정책세미나'를 개최한다. (자료제공=한국건설산업연구원)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2일 오후 2시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주택공급 활성화와 부동산금융 시장 안정을 위한 정책세미나'를 개최한다고 26일 밝혔다.

최근 국내 경제·산업 환경은 저성장, 고금리 지속, 부동산 PF 위기, 공사비 상승 등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연구원은 현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주택 공급과 수요, 금융 간 안정적인 선순환 체계로의 이행과 정착이 중요하다고 보고 이번 세미나를 기획했다. 특히 민간, 민·관 협력 부문 등에서는 '시장-재원-제도'를 유기적으로 아우르는 지속가능한 가치 및 정책방향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낼 예정이다.

연구원에서는 주택공급 활성화와 부동산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정책과제로 △부동산시장 안정을 위한 지속가능한 공급체계 마련 △주택시장 구조변화에 대응한 선제적 제도 개편 △건설·부동산 금융 안정화를 제시한 바 있다. 또한 이를 위한 총 24개의 세부과제를 묶어 19일 정책자료집을 발간했다.

이날 세미나는 이미 이뤄진 정책 제안을 바탕으로 국민과 산업계 등 다양한 주체의 의견이 반영된 바람직한 입법정책 방향 및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세미나 발표 순서에서는 △이태희 부연구위원 '부동산시장 안정을 위한 지속가능한 공급체계' △김성환 부연구위원 '주택시장 구조변화에 대응한 선제적 제도개편 방향' △김정주 연구위원 '건설·부동산 금융 안정화를 위한 정책방향'을 각각 발표한다.

이어지는 종합토론에서는 건설정책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해 현안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손흥민·황희찬·김민재…유럽서 빛나는 한국 축구 기둥들의 최애 차량은 [셀럽의카]
  • [종합] 새 교황으로 중도파 레오 14세 선출⋯사상 첫 미국 출신
  • “국채보다 회사채”…고금리로 몰려간 채권개미
  • 관세 전 수요 끝물…미국 車 판매 13만대 ‘뚝’
  • 치매·요양보험 쏟아진다…맞춤형 상품으로 ‘눈길’ [그레이트 시니어下]
  • 중위권서 맞닥뜨린 KIAㆍSSG, 외인 2선발 출격 [프로야구 9일 경기 일정]
  • SKT '위약금 면제' 법률 검토, 6월 말 가능…"조사단 결과 나와야"
  • [날씨] 전국 비 소식…수도권 최대 40㎜·남부 최대 80㎜ 예보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15:2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735,000
    • +3.94%
    • 이더리움
    • 3,158,000
    • +17.79%
    • 비트코인 캐시
    • 588,000
    • +0.26%
    • 리플
    • 3,240
    • +5.74%
    • 솔라나
    • 229,200
    • +8.11%
    • 에이다
    • 1,080
    • +8.98%
    • 이오스
    • 1,193
    • +1.45%
    • 트론
    • 357
    • +1.42%
    • 스텔라루멘
    • 411
    • +8.4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700
    • +4.81%
    • 체인링크
    • 22,200
    • +8.56%
    • 샌드박스
    • 453
    • +12.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