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계 국제선 최대 주 4528회 운항, 코로나19 이전 98% 회복

입력 2024-03-28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인천~자그레브·멜버른 등 신설, 4월 제주노선 임시 증편

▲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출국장이 여행객들로 북적이고 있다. (이투데이DB)
▲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출국장이 여행객들로 북적이고 있다. (이투데이DB)
올해 하계 기간(3월 31일~10월 26일) 국제선이 최대 주 4528회 운항한다. 이는 코로나19 이전의 98% 수준이다. 또 인천~자그레브(크로아티아)·멜버른(호주) 등 노선이 신설되고 4월 봄철 여행수요에 대응해 제주노선도 임시 증편한다.

국토교통부는 국내외 항공사들이 신청한 2024년 하계기간 국제선·국내선의 정기편 항공운항 일정(스케줄)을 확정했다고 28일 밝혔다.

일광절약시간제(daylight saving time)에 따른 운항시각 변동 및 계절적 수요에의 탄력 대처를 위해 대부분 국가는 1년에 2차례(하계, 동계) 항공 운항 일정을 조정한다.

국제선은 231개 노선을 최대 주 4528회(왕복) 운항한다. 이는 2023년 하계기간 대비 주 520회, 2023년 동계기간(2023년 10월 29일~3월 30일) 대비 주 228회가 증가한 것이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평균 주 4619회의 98%까지 회복이 예상된다.

주요 신규 취항(복항 포함) 노선으로는 인천~자그레브(크로아티아), 멜버른(호주), 멕시코시티(멕시코), 김해~보홀(필리핀), 대구~장자제(중국), 무안~울란바토르(몽골), 제주~시안(중국) 등이다.

작년 운수권을 증대한 폴란드(주 5→7회), UAE(주 21→28회) 노선과 함께 미주 본토(주 193→232회), 유럽(주 114→139회) 노선이 2023년 동계기간 대비 증편되며 장거리 노선에서 선택권 확대와 요금 안정화로 이용객 편익도 높아질 전망이다.

국내선 정기편은 9개 항공사가 제주노선(12개), 내륙노선(8개) 총 20개 노선을 주 1831회 운항한다. 제주노선은 주 1534회 운항할 예정이다.

특히 4월 봄철 여행객 증가가 예상되는 김포~김해ㆍ제주, 청주ㆍ김해~제주 등 4개 노선은 주 62회를 추가 임시 증편해 제주노선 이용객의 편의성이 크게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영국 국토부 항공정책관은 “최근 인도네시아, 몽골, 카자흐스탄 운수권을 확대하고 국내선도 무안~제주 노선을 복원하면서 원주, 포항 등 소규모 지방공항 노선도 유지했다"며 "앞으로도 공급 확대를 지속해 국민의 이동 편의를 증진하고 기업활동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야구장부터 테마파크까지…캐릭터가 '어른이'들을 홀린 비결 [이슈크래커]
  • 5월 2일 임시공휴일 무산됐지만 권장휴무 됐다?...대감집 노비들의 이야기 [해시태그]
  • "SKT 20년 이용했는데 해킹이라니"…전국 대리점 '유심 대란'
  • 빅텐트 최강조합 '한덕석'…"李 꺾을 확률 가장 높다" [디지트라다무스:AI무당]
  • 소방청, 대구 북구 산불 관련 '국가 소방동원령' 발령
  • “탄핵 찬성, 반대?” 사회 곳곳에 나타나는 ‘십자가 밟기’ [서초동 MSG]
  • 청주 고교서 특수교육 학생 흉기 난동… 교장 등 6명 부상 [종합]
  • 안전 운전도 하고, 벌점 감경 포인트도 쌓고…‘착한운전 마일리지’는? [경제한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300,000
    • -0.38%
    • 이더리움
    • 2,536,000
    • -2.35%
    • 비트코인 캐시
    • 501,000
    • -1.18%
    • 리플
    • 3,282
    • +1.74%
    • 솔라나
    • 210,800
    • -2%
    • 에이다
    • 996
    • -0.99%
    • 이오스
    • 993
    • +3.87%
    • 트론
    • 355
    • -1.11%
    • 스텔라루멘
    • 408
    • -0.2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650
    • -4.87%
    • 체인링크
    • 21,020
    • +0.33%
    • 샌드박스
    • 429
    • +0.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