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웹툰, '연재직행열차' 도입…“작가 창작 기회 확대”

입력 2024-03-28 10: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네이버웹툰 CI. (사진제공=네이버웹툰)
▲네이버웹툰 CI. (사진제공=네이버웹툰)
네이버웹툰이 초단기 신작 발굴 시스템 ‘연재직행열차’를 통해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발굴하고 웹툰 작가 지망생들의 등단 기회를 넓힌다고 28일 밝혔다.

총 여섯 개 부문으로 진행되는 연재직행열차는 15일 마무리된 시즌 1을 통해 ‘생활툰/썰툰’, ‘하이퍼리얼리즘’, ‘군필공감’ 분야의 모집을 끝냈다. 다음달 8일부터 14일까지 ‘심장제세동기 로맨스’, 다음달 15일부터 21일까지 ‘귀요미 캐릭터’, 다음달 22일부터 28일까지 ‘열혈청춘 스포츠 성장물’ 부문의 작품을 모집할 예정이다. 완성된 1화 분량의 원고와 2~3화 분량의 콘티 또는 시놉시스만으로 누구든 지원할 수 있다.

올해 처음 도입된 연재직행열차는 오늘 투고하면 다음 주에 결과를 받아볼 수 있는 초단기 투고 시스템이다. 일주일 간 작품 투고를 받은 뒤 일주일 간 검토를 거친 후 결과를 발표해 연재 확정까지 시간과 과정을 압축했다. 통상 공모전에서 작품 접수 후 최종결과가 발표되기까지 짧게는 2개월, 길게는 약 5개월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반면 연재직행열차는 예비 창작자들에게 빠른 피드백을 제공해 기다림에 대한 부담감을 최소화한다. 연재 확정까지 지원자들의 대기 기간을 크게 줄이고 탈락 시에도 예비 창작자들이 새로운 도전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네이버웹툰은 그동안 창작자들에게 활동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하고 창작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왔다. 앞서 2006년 업계 최초로 ‘도전만화’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창작자들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도전만화는 아마추어 창작자들이 자신의 작품을 독자들에게 쉽게 선 보이고 독자들의 피드백을 즉각 받아볼 수 있는 공간이다. 특히 이러한 도전만화 시스템을 글로벌 서비스에도 적용해 동남아와 서양문화권에서는 ‘캔버스(CANVAS)’, 일본에서는 ‘인디즈(indies)’라는 이름으로 운영하며 전세계에서 창작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네이버웹툰 이정근 한국 웹툰 리더는 “이번 연재직행열차 공모전을 통해 더 많은 독자들이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장르의 신작을 발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더 많은 창작자들이 자신이 가진 이야기를 웹툰으로 선보일 수 있도록 신작 발굴 시스템을 계속 고도화하고 웹툰 산업 저변을 확대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스승의 날 인사말 고민? 2025 스승의 날 문구 총정리
  • ‘김동선 주도’ 한화호텔, 매출 2조 아워홈 인수 완료…“식음•푸드테크 확장”
  • 우크라이나의 숨은 저격수…러시아 본토 흔드는 에이태큼스의 위력 [리썰웨폰]
  • '나는 솔로' 26기 영숙, 영수와 운명적 만남⋯"5년 전 소개팅한 사이"
  • 타스만·무쏘EV 출격에 ‘픽업트럭 전성기’ 열렸다 [ET의 모빌리티]
  • 푸틴·젤렌스키 직접 대면 불발⋯러, 협상단장에 대통령 보좌관 지명
  • 단독 임병선 SPC 대표, 6개월 만에 사임...‘허영인 리더십’ 흔들
  • ‘서부지법 난동’ 첫 선고…30대 징역 1년 6개월·20대 징역 1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883,000
    • -0.09%
    • 이더리움
    • 3,652,000
    • -2.69%
    • 비트코인 캐시
    • 565,500
    • -1.91%
    • 리플
    • 3,585
    • -1.43%
    • 솔라나
    • 247,700
    • -4.29%
    • 에이다
    • 1,119
    • -4.11%
    • 이오스
    • 1,118
    • -10.2%
    • 트론
    • 387
    • +1.57%
    • 스텔라루멘
    • 426
    • -3.8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250
    • -4.74%
    • 체인링크
    • 23,710
    • -3.34%
    • 샌드박스
    • 494
    • -3.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