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랠리가 이끈 1분기 美 증시…S&P500, 4년 만에 최대 폭 상승

입력 2024-03-29 15:2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상 최고 마감…1분기 10% 상승
AI 붐·호실적·금리 인하 기대 영향

▲S&P500지수 추이. 출처 WSJ
▲S&P500지수 추이. 출처 WSJ
S&P500지수가 올해 1분기에 4년 만에 최대 폭 상승했다.

2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S&P500지수는 전장 대비 5.86포인트(0.11%) 상승한 5254.35에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이날 사상 최고치를 다시 썼다. 또 1분기에 10% 상승하며 2019년 이후 가장 좋은 성적을 냈다.

인공지능(AI) 붐, 탄력적인 기업 이익,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투자자들에게 매수할 이유를 충분히 제공했다. 주식 시장의 약세는 몇 세션 이상 지속되지 않았고, 투자자들은 하락세를 매수해 지수를 22번이나 사상 최고치로 끌어올렸다.

골디락스 경제 또한 투자자들의 베팅을 뒷받침했다. 소비자들은 여전히 활발히 소비하고 있고, 고용주는 여전히 고용하고 있으며, 실업률은 여전히 4% 만이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1~2월 예상보다 높은 물가상승률에도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하락 추세에 있다고 믿고 있다.

이 랠리에 참여한 것은 소수의 대형 기술주만이 아니다. S&P500의 11개 섹터 가운데 한 개 종목을 제외한 모든 섹터가 상승했다. S&P500 종목의 절반 이상이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소형주 지수로 구성된 러셀2000지수도 4% 이상 뛰었다.

게다가 역사적으로 볼 때 주식시장은 좋은 시기를 계속 이어갈 수 있는 위치에 있다고 WSJ은 짚었다. 1950년 이후 지수 성과를 분석한 다우존스 마켓 데이터에 따르면 S&P500지수는 1분기에 8% 이상 상승하면 다음 3분기 동안 평균 9.7%의 상승률을 기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올해와 같이 대통령 선거가 있는 해는 상승세로 끝나는 경향이 있다. S&P500지수는 대통령 선거가 있는 해에 83% 상승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스승의 날 인사말 고민? 2025 스승의 날 문구 총정리
  • ‘김동선 주도’ 한화호텔, 매출 2조 아워홈 인수 완료…“식음•푸드테크 확장”
  • 우크라이나의 숨은 저격수…러시아 본토 흔드는 에이태큼스의 위력 [리썰웨폰]
  • [글로벌마켓 모닝 브리핑] 숨고르기 장세…기술주는 강세 지속
  • 1분기 실적보니…유한·녹십자·대웅 ‘선방’, 종근당·한미 ‘아쉬워’
  • 푸틴·젤렌스키 직접 대면 불발⋯러, 협상단장에 대통령 보좌관 지명
  • 단독 홍준표 “‘국민의 힘에서’ 은퇴한 것…대선 끝나면 복귀”
  • ‘골때녀’ 원더우먼, 월클에 이어 스밍파에도 3-0 승리...마시마·우희진 활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5 12:1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981,000
    • -0.71%
    • 이더리움
    • 3,644,000
    • -1.91%
    • 비트코인 캐시
    • 564,500
    • -1.48%
    • 리플
    • 3,583
    • -0.31%
    • 솔라나
    • 247,700
    • -2.21%
    • 에이다
    • 1,123
    • -2.43%
    • 이오스
    • 1,102
    • -10.41%
    • 트론
    • 386
    • +0.78%
    • 스텔라루멘
    • 428
    • -1.8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550
    • -5.14%
    • 체인링크
    • 23,770
    • -1.74%
    • 샌드박스
    • 492
    • -6.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