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오미, 첫 전기차 SU7 사전 예약 호조…단기 주가 상승 트리거 전망”

입력 2024-04-02 08:2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해 12월 28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샤오미의 첫 전기차 ‘SU7’ 공개 행사에서 방문객들이 차량을 둘러 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지난해 12월 28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샤오미의 첫 전기차 ‘SU7’ 공개 행사에서 방문객들이 차량을 둘러 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하나증권은 샤오미가 제작한 첫 전기차 ‘SU7’의 사전 예약 주문량이 예상을 웃도는 호조를 나타내 주가 상승 트리거로 작용하는 한편 경쟁 모델을 보유한 전기차 업체들은 상반된 주가 흐름을 시현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샤오미 SU7은 출시 직후 24시간 내 사전 예약 주문량 8만8000대 이상을 기록 중이다.

한수진 하나증권 연구원은 “SU7은 유사 스펙을 보유한 경쟁 모델보다도 낮은 가격대로 발표하면서 출시 직후 사전 예약 주문량이 강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며 “스탠다드 모델은 주행가능거리 700km로 테슬라 ‘모델3’ 후륜구동, 샤오펑 ‘P7i’, 지리자동차 ‘Zeekr007’ 롱레인지보다도 앞서 있다. 이외에도 제로백은 5.28초, 최고속도는 시속 210km로 경쟁 모델 대비 앞서 있다”고 설명했다.

한 연구원은 “사전 예약 주문량 호조 지속에 올해 연간 판매량은 사 측 목표치였던 10만 대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경쟁이 심화한 중국 전기차 시장에서도 샤오미는 예상보다도 경조한 사전 예약 주문량으로 올해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한 현상이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예상을 크게 웃도는 전기차 사전 예약 주문량 호조는 샤오미의 단기 주가 상승 트리거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며 “경쟁 모델을 보유한 전기차 업체들은 점유율 축소 및 판매량 확보를 위한 할인 프로모션 강화에 따른 수익성 하락 우려로 샤오미와 상반된 주가 흐름을 시현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짚었다.

이어 “비야디와 리오토는 상대적으로 샤오미 리스크가 낮아 보인다”며 “올해 상반기 신차 부재 및 샤오미와 경쟁 모델이 겹치는 샤오펑은 3분기 서브 브랜드 ‘모나’ 첫 모델 출시 전까지 부진한 주가 흐름을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리 아이, 잘 발달하고 있을까?…서울시 ‘영유아 무료 발달검사’ 받으려면 [경제한줌]
  • 어도어-뉴진스 전속계약 소송 첫 변론...“합의 희망” vs “그럴 상황 아냐”
  • 탄핵 선고 앞둔 헌재, 이웃들은 모두 짐 쌌다 [해시태그]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대법,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유죄 확정…권오수‧‘전주’ 징역형 집행유예
  • 탄핵선고 하루 앞으로...尹 선고 '불출석', 대통령실은 '차분'
  • 트럼프, 한국에 26% 상호관세 발표...FTA 체결국 중 최악
  • 병원 외래 진료, 17분 기다려서 의사 7분 본다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623,000
    • -1.01%
    • 이더리움
    • 2,700,000
    • -2.1%
    • 비트코인 캐시
    • 451,800
    • +0%
    • 리플
    • 3,034
    • -1.81%
    • 솔라나
    • 176,500
    • -4.23%
    • 에이다
    • 964
    • -2.53%
    • 이오스
    • 1,206
    • +1.69%
    • 트론
    • 349
    • -1.13%
    • 스텔라루멘
    • 388
    • -1.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550
    • -1.98%
    • 체인링크
    • 19,240
    • -3.66%
    • 샌드박스
    • 386
    • -2.2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