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소비자물가 3.1% 상승…두 달 연속 3%대 [포토]

입력 2024-04-02 12: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과일 물가와 유가 불안 등으로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달 연속 3%대를 기록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94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 올랐다. 지난달에도 농축수산물이 전체 물가 오름세를 이끌었다. 농축수산물은 11.7% 오르며 전월(11.4%)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품목별로는 사과가 88% 넘게 올랐고, 배와 귤 등도 크게 뛰었으며, 유가 불안에 석유류도 지난해 1월 이후 14개월만에 올라 1.2% 상승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8% 올랐다. 이날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과일 물가와 유가 불안 등으로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달 연속 3%대를 기록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94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 올랐다. 지난달에도 농축수산물이 전체 물가 오름세를 이끌었다. 농축수산물은 11.7% 오르며 전월(11.4%)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품목별로는 사과가 88% 넘게 올랐고, 배와 귤 등도 크게 뛰었으며, 유가 불안에 석유류도 지난해 1월 이후 14개월만에 올라 1.2% 상승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8% 올랐다. 이날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과일 물가와 유가 불안 등으로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달 연속 3%대를 기록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94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 올랐다. 지난달에도 농축수산물이 전체 물가 오름세를 이끌었다. 농축수산물은 11.7% 오르며 전월(11.4%)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품목별로는 사과가 88% 넘게 올랐고, 배와 귤 등도 크게 뛰었으며, 유가 불안에 석유류도 지난해 1월 이후 14개월만에 올라 1.2% 상승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8% 올랐다. 이날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과일 물가와 유가 불안 등으로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달 연속 3%대를 기록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94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 올랐다. 지난달에도 농축수산물이 전체 물가 오름세를 이끌었다. 농축수산물은 11.7% 오르며 전월(11.4%)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품목별로는 사과가 88% 넘게 올랐고, 배와 귤 등도 크게 뛰었으며, 유가 불안에 석유류도 지난해 1월 이후 14개월만에 올라 1.2% 상승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8% 올랐다. 이날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과일 물가와 유가 불안 등으로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달 연속 3%대를 기록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94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 올랐다. 지난달에도 농축수산물이 전체 물가 오름세를 이끌었다. 농축수산물은 11.7% 오르며 전월(11.4%)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품목별로는 사과가 88% 넘게 올랐고, 배와 귤 등도 크게 뛰었으며, 유가 불안에 석유류도 지난해 1월 이후 14개월만에 올라 1.2% 상승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8% 올랐다. 이날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과일 물가와 유가 불안 등으로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달 연속 3%대를 기록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94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 올랐다. 지난달에도 농축수산물이 전체 물가 오름세를 이끌었다. 농축수산물은 11.7% 오르며 전월(11.4%)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품목별로는 사과가 88% 넘게 올랐고, 배와 귤 등도 크게 뛰었으며, 유가 불안에 석유류도 지난해 1월 이후 14개월만에 올라 1.2% 상승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8% 올랐다. 이날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과일 물가와 유가 불안 등으로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달 연속 3%대를 기록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94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 올랐다. 지난달에도 농축수산물이 전체 물가 오름세를 이끌었다. 농축수산물은 11.7% 오르며 전월(11.4%)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품목별로는 사과가 88% 넘게 올랐고, 배와 귤 등도 크게 뛰었으며, 유가 불안에 석유류도 지난해 1월 이후 14개월만에 올라 1.2% 상승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8% 올랐다. 이날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과일 물가와 유가 불안 등으로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달 연속 3%대를 기록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94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 올랐다. 지난달에도 농축수산물이 전체 물가 오름세를 이끌었다. 농축수산물은 11.7% 오르며 전월(11.4%)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품목별로는 사과가 88% 넘게 올랐고, 배와 귤 등도 크게 뛰었으며, 유가 불안에 석유류도 지난해 1월 이후 14개월만에 올라 1.2% 상승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8% 올랐다. 이날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과일 물가와 유가 불안 등으로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달 연속 3%대를 기록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94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 올랐다. 지난달에도 농축수산물이 전체 물가 오름세를 이끌었다. 농축수산물은 11.7% 오르며 전월(11.4%)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품목별로는 사과가 88% 넘게 올랐고, 배와 귤 등도 크게 뛰었으며, 유가 불안에 석유류도 지난해 1월 이후 14개월만에 올라 1.2% 상승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8% 올랐다. 이날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과일 물가와 유가 불안 등으로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달 연속 3%대를 기록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94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 올랐다. 지난달에도 농축수산물이 전체 물가 오름세를 이끌었다. 농축수산물은 11.7% 오르며 전월(11.4%)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품목별로는 사과가 88% 넘게 올랐고, 배와 귤 등도 크게 뛰었으며, 유가 불안에 석유류도 지난해 1월 이후 14개월만에 올라 1.2% 상승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8% 올랐다. 이날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과일 물가와 유가 불안 등으로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달 연속 3%대를 기록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94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 올랐다. 지난달에도 농축수산물이 전체 물가 오름세를 이끌었다. 농축수산물은 11.7% 오르며 전월(11.4%)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품목별로는 사과가 88% 넘게 올랐고, 배와 귤 등도 크게 뛰었으며, 유가 불안에 석유류도 지난해 1월 이후 14개월만에 올라 1.2% 상승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8% 올랐다. 이날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스승의 날 인사말 고민? 2025 스승의 날 문구 총정리
  • ‘김동선 주도’ 한화호텔, 매출 2조 아워홈 인수 완료…“식음•푸드테크 확장”
  • 우크라이나의 숨은 저격수…러시아 본토 흔드는 에이태큼스의 위력 [리썰웨폰]
  • [글로벌마켓 모닝 브리핑] 숨고르기 장세…기술주는 강세 지속
  • 1분기 실적보니…유한·녹십자·대웅 ‘선방’, 종근당·한미 ‘아쉬워’
  • 푸틴·젤렌스키 직접 대면 불발⋯러, 협상단장에 대통령 보좌관 지명
  • 단독 홍준표 “‘국민의 힘에서’ 은퇴한 것…대선 끝나면 복귀”
  • ‘골때녀’ 원더우먼, 월클에 이어 스밍파에도 3-0 승리...마시마·우희진 활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5 09:3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058,000
    • -0.03%
    • 이더리움
    • 3,711,000
    • -2.01%
    • 비트코인 캐시
    • 570,000
    • -1.64%
    • 리플
    • 3,613
    • -0.14%
    • 솔라나
    • 250,600
    • -2.57%
    • 에이다
    • 1,137
    • -2.32%
    • 이오스
    • 1,126
    • -9.92%
    • 트론
    • 388
    • +2.11%
    • 스텔라루멘
    • 432
    • -2.0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650
    • -4.12%
    • 체인링크
    • 24,160
    • -1.15%
    • 샌드박스
    • 499
    • -6.0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