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시진핑, 지난해 11월 회담 이후 첫 통화…“소통 채널 유지하기로”

입력 2024-04-03 08: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남중국해·대만·북핵 위협 등 논의
바이든, 틱톡 관련 문제 언급
옐런 재무장관, 3~9일 방중

▲조 바이든(오른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왼쪽) 중국 국가주석이 2022년 11월 14일 인도네시아 발리의 누사두아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만나고 있다. 누사두아(인도네시아)/AFP연합뉴스
▲조 바이든(오른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왼쪽) 중국 국가주석이 2022년 11월 14일 인도네시아 발리의 누사두아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만나고 있다. 누사두아(인도네시아)/AFP연합뉴스

미·중 사이의 긴장 고조 속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해 11월 정상회담 이후 처음으로 대화를 나눴다.

2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백악관은 “1시간 45분 동안 양국 정상이 다양한 이슈에 관해 솔직하고 건설적인 대화를 나눴다”며 “두 정상은 향후 몇 주, 몇 달 동안 고위급 외교 및 실무 협의를 통해 열린 소통 채널을 유지하고 관계를 책임감 있게 관리하려는 지속적인 노력을 환영했다”고 밝혔다. 두 정상의 마지막 전화 통화는 2022년 7월이었다.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은 최근 남중국해에서의 긴장 고조와 중국의 인권 탄압, 대만 문제, 우크라이나 전쟁, 북핵 위협 등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마약과 인공지능(AI), 기후 변화 대응 방안 등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백악관은 “바이든 대통령이 ‘무역과 투자를 과도하게 제한하지 않으면서도 미국의 첨단 기술이 국가 안보를 약화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필요한 일을 하겠다’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또 바이든 대통령은 틱톡 관련 문제도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소통보좌관은 “바이든 대통령은 틱톡 금지가 아닌 매각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면서 “이는 국가 안보와 미국인의 데이터 보호의 문제”라고 설명했다.

한편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은 3일부터 9일까지 중국을 방문한다. 지난해 7월 이후 9개월 만의 방중으로, 중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에 대해 중국과 논의할 전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연금개혁 2차전…'자동조정장치' vs. '국고투입'
  • 6·3 대선 앞두고, 대선 후보 욕설 영상...딥페이크 '주의보'
  • 에코레더가 친환경? 공정위 경고받은 무신사, ‘그린워싱’ 가이드라인 발간
  • 이정후, 양키스전서 또 2루타…신바람 난 방망이 '미스터 LEE루타'
  • 한숨 돌린 삼성전자, 美 상호관세 부과에 스마트폰 제외
  • 불성실공시 '경고장' 받은 기업 17% 증가…투자자 주의보
  • 서울시, 지하철 등 대규모 지하 굴착 공사장 집중 탐사…땅 꺼짐·붕괴 예방
  • 게임에서 만나는 또 다른 일상…‘심즈’의 왕좌 노리는 크래프톤 ‘인조이’ [딥인더게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840,000
    • +0.09%
    • 이더리움
    • 2,378,000
    • +0.46%
    • 비트코인 캐시
    • 504,500
    • +0.1%
    • 리플
    • 3,154
    • +2.6%
    • 솔라나
    • 190,900
    • +2.14%
    • 에이다
    • 955
    • +1.81%
    • 이오스
    • 917
    • -6.71%
    • 트론
    • 367
    • +2.23%
    • 스텔라루멘
    • 359
    • +1.4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240
    • -1.42%
    • 체인링크
    • 19,080
    • +0.9%
    • 샌드박스
    • 384
    • -1.7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