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는 인도 지는 중국…‘세계 성장 엔진’ 왕좌 교체되나

입력 2024-04-08 15: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인도, 2028년 세계 GDP 성장 기여도 1위 전망
증시 호황에 외국인 투자 넘쳐나
글로벌 공급망서 존재감 키워
인프라 개선·제조 역량 확대 등 과제로 꼽혀

인도가 중국을 대신해 새로운 글로벌 경제성장 엔진으로 떠오를 것으로 기대된다.

블룸버그통신은 7일(현지시간) 인도가 2028년까지 중국을 제치고 세계 국내총생산(GDP) 성장의 최대 기여국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중국은 ‘세계 최대 인구 대국’ 타이틀을 인도에 뺏긴 데 이어 ‘글로벌 성장 엔진’타이틀까지 내줄 위기에 놓였다.

최근 인도와 중국 경제는 희비가 뚜렷하게 엇갈리고 있다. 중국 경제는 부동산 불황, 주식시장 부진, 지정학적 긴장 고조, 저출산 등으로 둔화하고 있다. 반면 인도 주식시장은 호황을 이루고 있으며, 외국인 투자 또한 넘쳐나고 있다. 각국 정부는 14억 인구의 젊은 시장을 겨냥하기 위해 인도와 새로운 무역협정을 체결하고자 줄을 서고 있다. 미국 애플이 이곳에서 아이폰 생산을 확대하고 테슬라가 현지에서 새로 지을 전기차 공장 설립 부지를 물색하는 등 글로벌 공급망에서도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물론 아직 인도의 GDP는 3조5000억 달러(약 4736조5500억 원)로 세계 2위 경제 대국인 중국(17조8000억 달러)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 열악한 도로, 교육 격차, 관료주의, 숙련된 노동자 부족 등 한계점도 명확하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인도가 중국의 경제 규모를 따라잡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그러나 대다수 전문가는 인도가 글로벌 성장 엔진 측면에서는 중국을 빠르게 추월할 수 있다고 진단하고 있다. 영국 투자은행 바클레이스는 인도가 향후 5년 내 세계 최대 경제성장 기여국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블룸버그이코노믹스 역시 인도가 이르면 2028년 세계 GDP 성장 기여도 1위 국가를 차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동시에 인프라 개선, 제조 역량 확대, 모든 근로자를 수용할 더 나은 도시 건설, 적극적 공장 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 등을 목표 달성을 위한 과제로 꼽았다.

블룸버그이코노믹스의 기본 시나리오에 따르면 인도의 경제 성장률은 2020년대 말까지 연평균 9%로 가속화하는 반면, 중국은 3.5%로 둔화할 전망이다. 이에 인도가 중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성장 동력 국가로 떠오르는 시점은 2028년이 가장 유력하다는 분석이다. 인도 경제 성장률이 향후 5년간 6.5%에 머물 것을 가정하는 가장 비관적인 시나리오에서도 인도는 2037년 중국의 글로벌 성장 기여도를 앞지를 것으로 관측됐다.

아난타 나게스와란 인도 정부 수석 경제 고문은 최근 인터뷰에서 경제 규모가 훨씬 큰 중국과의 비교를 경계하면서도 “인도의 성장 잠재력, 젊은 인구, 인프라 구축, 중산층 확대 가능성이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분명한 가치를 제공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비용 경쟁력뿐만 아니라 시장, 경제적 창출 능력, 법치주의, 해외 투자자들이 비교적 쉽게 돈을 송금할 수 있는 정책의 안정성도 중요하다”고 과제를 제시했다.

인도 정부는 이미 인프라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어 경제 고성장을 이어갈 것이 기대된다. 인도 정부의 2024·25회계연도(올해 4월~내년 3월) 인프라 예산은 약 11조 루피(약 179조 원)로 5년 전보다 3배 넘게 늘었다. 지방정부 예산까지 포함하면 20조 루피 이상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새 아이폰에 국산 부품 대거 탑재⋯中 추격 제동 [ET의 칩스토리]
  • '불꽃야구' 시끄러웠던 2025 트라이아웃 드디어 공개…김성근 픽은 누구?
  • 동학개미 표심 잡기 ‘사활’…대선후보 '배당소득세 완화·가상자산' 쏟아지는 자본시장 공약
  • "내란세력" "가짜 진보" "압도적 새로움"…판 뒤집을 '한 방'은 아직
  • “첨단 AI 솔루션 대거 선봬”…삼성·SK, 美 ‘DTW 2025’ 나란히 참가
  • ‘공적자금 연명’ MG손보, 구조조정 남았다⋯계약 유지 여전히 '안갯속'
  • 국산쌀은 일본행, 쌀가공식품은 미국행…찬밥 신세 벗어난 K-쌀[우리쌀, 해외서 재발견]
  • 배터리업계, 구조조정 도미노…“강한 기업만 살아남는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3 13:5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008,000
    • -0.33%
    • 이더리움
    • 3,470,000
    • -1.53%
    • 비트코인 캐시
    • 562,000
    • -2.18%
    • 리플
    • 3,505
    • +4.32%
    • 솔라나
    • 239,700
    • -2.56%
    • 에이다
    • 1,117
    • -2.7%
    • 이오스
    • 1,219
    • -5.28%
    • 트론
    • 371
    • -0.27%
    • 스텔라루멘
    • 428
    • -2.0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100
    • -5.65%
    • 체인링크
    • 23,140
    • -3.94%
    • 샌드박스
    • 487
    • -3.9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