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최종 투표율 67.0% 확정…세종 최고·제주 최저

입력 2024-04-11 13:1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투표율, 32년 만에 최고치…서울 69.3%·전남 69.0%·대구 64.0%

▲제22대 국회의원선거일인 10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종합체육관에 마련된 개표소에서 개표사무원들이 개표작업을 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제22대 국회의원선거일인 10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종합체육관에 마련된 개표소에서 개표사무원들이 개표작업을 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10일 치러진 제22대 총선의 투표율이 67.0%로 최종 집계됐다. 2020년 치러진 21대 총선과 비교하면 0.8%포인트(p) 높았으며, 1992년 총선 이후 3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역별로 보면 세종이 70.1%로 가장 높은 투표율을 기록했고, 제주(62.2%)가 가장 낮았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11일 제22대 총선에서 전체 유권자 4428만11명 중 2965만4450명이 투표해 67.0%의 최종 투표율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최종 투표율은 총선 투표일인 전날 투표 마감 후 오후 7시 30분께 공개한 잠정치와 같지만, 최종 확정된 투표 참여자는 잠정치 공개 당시의 2966만2313명에서 7863명이 감소했다. 최종 확정된 투표자 수는 투표지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지역별로 보면 17개 시·도가 모두 62%를 넘었고, 세종이 70.1%로 가장 높은 투표율을 기록했다. 이어 서울(69.3%), 전남(69.0%), 광주(68.2%), 경남(67.5%), 부산(67.5%), 전북(67.4%) 등에서 최종 투표율(67.0%)을 웃돌았다. 울산(66.9%), 경기(66.7%), 강원(66.6%), 대전(66.3%), 인천(65.3%), 충북(65.2%), 경북(65.1%), 충남(65.0%), 대구(64.0%) 등은 최종 투표율보다 낮았다. 투표율이 가장 낮은 곳은 제주로 62.2%였다.

이번 투표율은 2020년 21대 총선(66.2%)과 비교해 0.8%p 높고, 2016년 20대 총선의 투표율 58.0%보다 9.0%p 높다. 특히, 1992년 치러진 14대 총선(71.9%) 이후 3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21대 총선이 14대 총선 이후 28년 만에 최고 투표율 기록을 세운 데 4년 뒤에 또다시 기록을 경신한 것이다.

다른 선거와 비교하면 2022년 제20대 대선 투표율(77.1%)보다는 10.1%p 낮고, 같은 해 치러진 제8회 지방선거 투표율(50.9%)보다는 16.1%p 높았다. 2000년 이후 실시된 역대 총선 투표율은 △16대 57.2% △17대 60.6% △18대 46.1% △19대 54.2% △20대 58.0% △21대 66.2%였다.

70%에 육박하는 높은 투표율은 여야가 각각 앞세웠던 '거야 심판론'과 '정권 심판론'으로 양측 진영의 지지층이 결집한 결과로 풀이된다. 이같은 투표 열기는 사전투표율과 재외투표율이 모두 역대 총선 중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이미 예고됐다. 이번 총선 사전투표율은 2020년 21대 총선(26.69%)보다 4.59%p 높았고, 사전투표가 처음 적용된 2016년 20대 총선(12.19%)과 비교하면 19.09%p 올랐다. 또한, 지난달 27일부터 1일 치러진 재외투표의 최종 투표율도 62.8%로 2012년 재외선거가 처음 도입된 19대 총선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만, 이번 총선에서도 '마의 70%' 벽을 넘지는 못했다. 총선 투표율은 1992년 14대(71.9%)를 기록한 이후로 70%를 넘어선 적이 아직 단 한 번도 없다. 이명박 정부 출범 초기에 치러진 2008년 18대 총선에서 46.1%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던 투표율은 19대 54.2%, 20대 58.0%, 21대 66.2%로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왔지만, 이번에도 70%를 넘지는 못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연금개혁 2차전…'자동조정장치' vs. '국고투입'
  • 6·3 대선 앞두고, 대선 후보 욕설 영상...딥페이크 '주의보'
  • 에코레더가 친환경? 공정위 경고받은 무신사, ‘그린워싱’ 가이드라인 발간
  • 이정후, 양키스전서 또 2루타…신바람 난 방망이 '미스터 LEE루타'
  • 한숨 돌린 삼성전자, 美 상호관세 부과에 스마트폰 제외
  • 불성실공시 '경고장' 받은 기업 17% 증가…투자자 주의보
  • 서울시, 지하철 등 대규모 지하 굴착 공사장 집중 탐사…땅 꺼짐·붕괴 예방
  • 게임에서 만나는 또 다른 일상…‘심즈’의 왕좌 노리는 크래프톤 ‘인조이’ [딥인더게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840,000
    • +2.4%
    • 이더리움
    • 2,357,000
    • +3.97%
    • 비트코인 캐시
    • 490,600
    • +8.01%
    • 리플
    • 3,126
    • +6.54%
    • 솔라나
    • 191,100
    • +9.08%
    • 에이다
    • 946
    • +4.3%
    • 이오스
    • 960
    • +8.72%
    • 트론
    • 358
    • +1.13%
    • 스텔라루멘
    • 355
    • +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280
    • +2.2%
    • 체인링크
    • 18,920
    • +3.56%
    • 샌드박스
    • 387
    • +2.6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