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암 넘고 고형암 정복 나선 CAR-T 치료제

입력 2024-04-15 05: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4-04-14 17:0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다형성인 고형암 항원 맞춤 항체 개발이 관건

항원 다양한 고형암, 표적 찾기 어려워 난관
고형암 타깃 가능 항체 중심으로 개발 승부
유틸렉스‧HLB 자회사 베리스모 임상 1상 중
큐로셀‧앱클론‧박셀바이오‧HK이노엔 등 비임상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CAR-T(키메라 항원수용체 T세포) 치료제의 적응증을 혈액암에서 고형암으로 확대하기 위한 연구개발(R&D)에 속도를 내고 있다. 고형암 타깃 치료제는 기존 CAR-T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14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고형암 CAR-T 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고형암 대상 첫 세포치료제 ‘암타그비’를 승인하며 고형암 CAR-T 치료제 탄생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두 치료제는 면역세포 기반이라는 점에서는 같지만, CAR-T 치료제는 유전자를 변형했다.

CAR-T 치료제는 환자의 면역세포인 T세포에 암세포만 추적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를 붙인 치료제다. 환자의 몸에서 T세포를 분리해 유전자를 조작한 뒤 배양과정을 거친 후 다시 환자에게 투여한다. 치료제가 체내 들어와 암세포와 만나면 T세포가 활성화돼 암세포를 제거한다.

현재 미국식품의약국(FDA) 허가를 받은 CAR-T 치료제는 노바티스 킴리아 등 6개다. 국내에는 허가 당시 초고가 치료제로 주목받았던 노바티스의 킴리아와 존슨앤드존슨의 카빅티가 허가받았다. 하지만 현재까지 허가받은 CAR-T 치료제는 혈액암 대상이다. 고형암으로 승인받은 CAR-T 치료제는 없다. 고형암에서는 효능을 입증하지 못해서다.

가장 큰 이유는 고형암의 항원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혈액암과 달리 고형암은 CAR-T 세포가 표적으로 삼을 수 있는 항원을 찾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CAR-T 세포가 혈관 내피를 통과하기 어려워 종양 세포에 침입하기 어렵고, 면역억제적인 종양 미세환경으로 CAR-T 치료제의 활동이 제한된 것도 그동안 CAR-T 치료제가 고형암에서 효능을 입증하지 못한 이유다.

하지만 고형암으로 적응증을 확대하기 위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다. 국내에 CAR-T 치료제 선두 주자 앱클론과 큐로셀이 대표적인 기업이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앱클론은 최근 막을 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고형암 CAR-T 치료제 AT501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AT501은 암 단백질만을 추적하는 HER2(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2) 기반으로 위암을 적응증으로 한다. 앱클론은 HER2를 CAR-T 치료제와 함께 투여할 경우 강력한 항암 활성 효능이 지속됨을 동물 모델에서 확인했다고 밝혔다. 국내 첫 CAR-T 치료제 품목허가에 도전하는 큐로셀은 PSMA, B7-H3 단백질을 타깃해 전립선암과 폐암을 적응증으로 임상을 진행 중이다.

HLB의 미국 자회사인 베리스모 테라퓨틱스는 고형암 CAR-T 치료제 후보물질 SynKIR-110에 대한 미국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다. 적응증은 난소암, 중피종, 담도암이다. SynKIR-110은 자연살해세포(NK세포)에서 발현되는 수용체(KIR)를 암세포에 살상 능력이 있는 T 세포에 삽입시킨 CAR-T 치료제다. 회사 측은 기존 CAR의 구조와 달리 인간 몸에서 자연적으로 발현되는 수용체 구조와 비슷해 효능면에서 다른 치료제보다 우수하다고 설명했다.

유틸렉스는 간세포암 환자 대상 CAR-T 치료제 EU307을 개발 중이다. 현재 임상 1상 진행 중이며, 지난해 9월 첫 투약했다. EU307은 정상 간세포에 영향 없이 간세포암에 특이적으로 과발현하는 GPC3 암항원을 타깃다. 박셀바이오는 위암, 간세포암 등을 적응증으로 고형암의 대표적 암 표지자인 PD-L1과 EphA2 두 가지를 동시에 표적하는 CAR-T 치료제 특허를 출원하며 본격 연구에 나섰다.

HK이노엔은 자체연구 과제로 고형암 CAR-T 치료제 IN-B00003 연구 개발 중이다. CAR-T세포에 면역관문인자 HLA-G의 활동을 억제하는 항체를 접목했다. HLA-G는 우리 몸에서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면역관문인자로 특정 암세포에 과다하게 발현돼 면역체계를 망가뜨린다. 현재 비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며, 향후 임상 1상 진입이 목표다.

국내 CAR-T 치료제 개발 기업 연구소장은 “고형암과 혈액암 CAR-T 치료제는 암 항원을 찾아 공격하는 콘셉트는 같다. 다만 고형암 항원은 다양해 관련 항원을 찾아낼 수 있는 항체를 개발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전직 대통령 예우 대부분 박탈 [尹탄핵 인용]
  • 韓 권한대행 "美 상호관세 대응 등 시급한 현안 해결"
  • 챗GPT 이미지 생성도구 '완전 비활성화 상태'…"이용불가 메시지"
  • 발란 기업회생 개시…머스트잇도 ‘매각설 논란’
  • 홈플러스, 현금 확보 계획 요원...근본적 대안 있나[홈플러스 사태 한달]
  • 펫보험 개편에 소비자도 설계사도 '울상'…시장 위축 우려
  • 의대생들 “정부, 과오 인정하고 의료개악 해결해야” [尹탄핵 인용]
  • 격분한 尹 지지자, 곤봉으로 경찰버스 유리 파손…현행범으로 체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060,000
    • +0.15%
    • 이더리움
    • 2,689,000
    • -0.04%
    • 비트코인 캐시
    • 453,600
    • +0.33%
    • 리플
    • 3,075
    • +1.15%
    • 솔라나
    • 175,600
    • +0.11%
    • 에이다
    • 972
    • +0.83%
    • 이오스
    • 1,235
    • +5.92%
    • 트론
    • 351
    • +1.45%
    • 스텔라루멘
    • 387
    • +0.2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380
    • +0.46%
    • 체인링크
    • 19,240
    • +0.1%
    • 샌드박스
    • 389
    • +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