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운용 ‘美투자 ETF’ 2종 3조 돌파…기념 이벤트 진행

입력 2024-04-12 09: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미국 대표지수에 투자하는 TIGER 상장지수펀드(ETF) 2종의 순자산이 각 3조 원을 돌파해 고객 감사 이벤트를 실시한다고 12일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종가 기준 ‘TIGER 미국S&P500 ETF’의 순자산은 3조1261억 원이다. 해당 ETF는 2020년 8월 상장 후 국내 최대 미국 투자 ETF로 성장했다.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를 추종하는 해당 ETF는 국내 투자자들에게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대표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전날 기준 해당 ETF의 연초 이후 개인 누적 순매수 규모는 약 4100억 원으로, 국내 전체 ETF 중 1위를 차지했다.

나스닥100지수를 추종하는 ‘TIGER 미국나스닥100 ETF’도 순자산 3조 원 이상의 대규모 ETF로 성장했다. 순자산은 3조828억 원이다. 특히 해당 ETF는 2010년 상장한 국내 최초 미국 대표지수 ETF이자 미국 주식 장기 투자의 성공 사례로 꼽히고 있다. 상장 당시 1만 원이었던 주당 가격은 현재 10만 원을 넘어섰다.

현재 국내 상장된 전체 ETF 중 순자산 규모 3조 원 이상은 총 7종이다. 이 가운데 미국 투자 ETF는 TIGER 미국S&P500 ETF와 TIGER 미국나스닥100 ETF 2종뿐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미국S&P500 ETF와 TIGER 미국나스닥100 ETF의 순자산 3조 원 돌파를 기념해 고객 이벤트를 진행한다. 26일까지 해당 ETF를 보유 인증한 참여자 중 추첨을 통해 기프티콘을 증정한다.

김남호 미래에셋자산운용 FICC ETF운용본부 본부장은 “TIGER 미국나스닥100 ETF와 TIGER 미국S&P500 ETF가 모두 순자산 3조 원을 넘어서며 TIGER ETF가 국내 투자자들에게 미국 주식 시장에 투자하는 대표 수단으로 자리 잡은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도 TIGER ETF는 미국뿐 아니라 다양한 해외주식 ETF 라인업을 확장해 투자자들에게 선택의 폭을 넓혀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원·달러 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경신…주간 거래 종가 1473.2원
  • 국내외 유망 기업서 경험 쌓고 싶다면…‘서울형 청년인턴 직무캠프’ 알아볼까 [경제한줌]
  • 한덕수 이완규·함상훈 재판관 지명 파장...민주 '격앙', 재탄핵 카드 꺼내나
  • “빌어먹을 공식, 이해 못 하겠다”…다이먼도 머스크도 ‘트럼프 관세’ 등 돌려
  • “계좌가 관세 맞은 줄”…테슬라 폭락에 서학개미 수익 ‘박살’
  • 강남 대치동 ‘마약 음료’ 기획 주범 징역 23년 확정
  • 오늘 김국진 모친상·강수지 시모상…빈소는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 사업장 손실 책임 떠안아…하청·지역경제까지 연쇄 타격[선 넘은 신탁사 부실 中]①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8,461,000
    • +4.88%
    • 이더리움
    • 2,339,000
    • +6.9%
    • 비트코인 캐시
    • 411,600
    • +7.05%
    • 리플
    • 2,765
    • +8.09%
    • 솔라나
    • 161,700
    • +9.33%
    • 에이다
    • 868
    • +9.46%
    • 이오스
    • 1,093
    • +6.32%
    • 트론
    • 349
    • +4.8%
    • 스텔라루멘
    • 339
    • +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140
    • +4.94%
    • 체인링크
    • 17,270
    • +9.93%
    • 샌드박스
    • 355
    • +7.2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