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H지수 ELS 가장 많이 판 KB국민은행, 내일부터 자율조정 돌입

입력 2024-04-14 09: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5일부터 분쟁조정기준안에 따른 조정 절차 착수

홍콩 항셍중국기업지수(H지수) 기초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관련 판매규모가 가장 큰 KB국민은행이 내일(15일)부터 자율 조정 절차에 돌입한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15일 홍콩 H지수 기초 ELS 손실 배상 대상 고객에게 자율조정 시행 안내를 시작하면서 금융감독원의 분쟁조정기준안에 따른 자율조정 절차에 들어간다.

이르면 15일 이후부터 배상금 지급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민은행은 이날 전체 배상 절차에 대해 안내하고 배상비율이 확정된 고객에게는 별도 메시지를 보내 영업점에서 안내할 방침이다.

계좌별 만기가 도래해 배상비율이 확정된 고객부터 순차적으로 자율조정을 진행한다. 배상비율 확정 고객은 계좌 만기 도래 순서에 따라 매주 선정된다. 해당 고객에게는 본부 차원에서 자율조정 절차와 방법을 담은 문자 메시지가 발송된다. 이후 영업점 직원이 개별적으로 유선을 통해 다시 한번 안내한다.

이번 안내 대상은 홍콩 H지수 기초 ELS 녹인(Knock-In) 발생 계좌로 ▲만기상환 계좌 ▲만기 미도래 계좌 ▲녹인 발생 전·후로 중도해지 된 계좌를 보유한 고객이다. 국민은행은 영업점 방문이 어려운 고객을 위해 KB스타뱅킹 앱을 이용한 비대면 자율조정 진행이 가능하도록 시스템도 구축했다.

한편 하나은행과 신한은행은 이미 배상금 지급을 실행했다. 하나은행은 지난달 28일 자율배상위원회를 열고 일부 투자자들과의 합의를 거쳐 지난달 29일 은행권 최초로 배상금 지급이 이뤄졌다고 밝힌 바 있다. 신한은행도 이달 4일 일부 고객에게 처음으로 배상금을 지급했다.

우리은행은 12일부터 만기가 도래해 손실이 확정되는 고객을 대상으로 개별 접촉에 들어갔다. ELS 가입 고객에게 개별적인 안내 문자를 일괄적으로 발송한 상태다. 만기 도래와 해당 영업점 안내 등이 전달했다. 만기가 도래해 손실이 확정되면 해당 영업점에서 고객 상담을 진행해 수용안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국민·신한·하나·농협·SC제일은행의 올해 만기 도래 규모는 상반기(4~6월) 5조2456억 원, 하반기(7~12월) 4조8935억 원 등 10조1391억 원 규모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김문수 후보직 박탈-한덕수로 강제교체...파국 치닫는 국힘
  • 3050 공략 스테디셀러 ‘삼국지 IP’, 어떤 게임 해볼까? [딥인더게임]
  • “러닝족은 귀하신 몸”…패션업계, 러너 체험 마케팅·전문관 봇물
  • ‘단종할 땐 언제고’...식품업계, 저비용·높은 화제성 노린 재출시 열풍
  • “유심 털리니 계좌도 걱정”…은행권, ‘얼굴 인증’ 강화
  • 죽은 연애 세포 되살려내는 '바이러스'…배두나·김윤석·장기하의 만남 [시네마천국]
  • "이곳저곳 떠나보세요"…황금연휴, 가족 행사로 마무리하는 법 [주말N축제]
  • 중국, 미국 수출 제재에도 엔비디아 칩 확보한 방법은?

댓글

0 / 300
  • 홍콩피해자
    금감원은 불완전판매 상품을 승인하고 제일금융권에 팔도록 했습니다. 가입자자와 은행과 싸움을 해야합니다. 다시는 이런상품을 은행에서 묻지마상품으로 팔게해서는 안됩니다.국민청원중입니다. 복사하셔서 청원에 동의해주세요
    2024-04-24 07:47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907,000
    • -0.25%
    • 이더리움
    • 3,467,000
    • +5.89%
    • 비트코인 캐시
    • 589,000
    • +2.88%
    • 리플
    • 3,390
    • +2.7%
    • 솔라나
    • 240,900
    • +0.38%
    • 에이다
    • 1,159
    • +5.46%
    • 이오스
    • 1,293
    • +7.66%
    • 트론
    • 363
    • -1.09%
    • 스텔라루멘
    • 429
    • +3.3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8,850
    • +2.62%
    • 체인링크
    • 23,500
    • +4.72%
    • 샌드박스
    • 491
    • +5.5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