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언주 “尹 인기 없는 이유, 격과 책임 못 미치기 때문”

입력 2024-04-15 09:5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뉴시스)
▲(뉴시스)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경기 용인정 당선인이 14일 “윤석열 대통령이 국민에게 인기가 없는 것은, 역설적이게도 그의 언행이 현저히 대통령으로서의 격과 책임에 못 미치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이 당선인은 이날 페이스북에 “한마디로 지금까지 역대 대통령 중 그처럼 막무가내 우격다짐 식의 무식한 정치·경제·외교를 밀어붙이는 경우를 보지 못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당선인은 “지금 국민은 그런 단순 무식한 국정운영이 계속된다면 대한민국의 경쟁력이 곤두박질칠 거란 두려움을 갖고 있다”며 “더 정확히 말하면 이미 곤두박질치고 있으니 실은 회복 불능이 될 거란 두려움”이라고 적었다.

이어 “아마도 그런 걱정은 야당뿐만 아니라 여당 지지층도 마찬가지일 것”이라며 “단지 여러 이해관계 때문에 말 못 할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 총선에서 200석 가까운 190여 석의 범야권 의석의 의미는 결코 가볍지 않다”며 “더구나 여당이 다수 당선됐지만, PK(부산·경남) 등 일각의 보수지역에서조차 상당한 득표를 야당이 했음을 감안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당선인은 “이는 단순한 여야 혹은 진영의 문제보다 근원적인 대한민국의 지속적 번영이라는 의제 속에 주권자인 국민이 고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며 “야권이 주장하는 여러 특검 사안이나 김건희 여사 문제는 하나의 불씨일 뿐 실은 그런 정도의 문제를 넘어선 고민”이라고 주장했다.

이 당선인은 “그러니 당연히 윤 대통령은 총선에서 나타난 민주공화국 주권자의 헌법적 판단을 존중해, 즉각 기자회견을 열어 지금까지 자신의 국정운영 태도를 반성하는 대국민 사과와 함께 국정기조의 전환을 선언하고, 그를 실천하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야당 대표와의 영수회담 실시 △내각 총사퇴와 거국내각에 가까운 개각 △거부권 남발 및 시행령으로 입법권을 무력화하는 위헌적 행위 중단 선언 △민생과 경제 회복 집중 △대연정 형식의 거국적 비상경제회의 추진 △적대적인 외교통상정책 제고 △언론과 검경 등 권력기관 장악시도 포기 선언 등을 예로 들었다.

이 당선인은 최근 윤 대통령이 후임 비서실장으로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과 이동관 전 방송통신위원장 등을 검토 중이라는 언론 보도에 대해선 “경악한다”며 “과연 윤 대통령은 이번 총선의 헌법적 정치적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것일까”라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총선 결과는) 민주공화국에서 주권자인 국민이 공식적으로 던진 헌법적 경고”라며 “어찌 감히 그 준엄한 경고를 무시할 생각을 하는 것일까”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300조로 빚 탕감', '차별금지법 반대'…대선 후보들의 이색 공약
  • 직진·환승, 그리고 오열…도파민 터지는 '레전드 연프' 정주행 해볼까
  • '헌 폰도 새 폰처럼' 갤럭시 S24 사용자가 '원 UI 7.0' 써보니
  • 달리는 '李'에 태클 건 대법원?…대선판 흔들리나
  • 어린이날ㆍ석가탄신일 낀 황금연휴…전국 행사 총정리 [주말N축제]
  • 강남에서 2800가구 평당 8400만원은 넘어야…대한민국 '대장 아파트' 살펴보니
  • 어린이날 황금연휴 시작…가족ㆍ연인과 즐길 만한 문화 나들이는?
  • “즐거운 연휴 신차 시승·모터사이클 전시 즐겨보세요”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940,000
    • -0.54%
    • 이더리움
    • 2,632,000
    • -0.27%
    • 비트코인 캐시
    • 523,500
    • -3.41%
    • 리플
    • 3,140
    • -0.73%
    • 솔라나
    • 211,100
    • -0.42%
    • 에이다
    • 1,015
    • +1.91%
    • 이오스
    • 1,055
    • +2.93%
    • 트론
    • 352
    • -0.56%
    • 스텔라루멘
    • 390
    • -0.2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850
    • -4.86%
    • 체인링크
    • 20,590
    • -2.32%
    • 샌드박스
    • 408
    • -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