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고효율 펠티어 냉각 연구 컨소시엄' 발족

입력 2024-04-17 08:2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차세대 냉각 신소재∙신기술 개발 협업
참여 기관 지속 확대 및 과제 추가 추진

▲위훈 삼성전자 DA사업부 선행개발팀장 부사장(오른쪽)과 김성웅 성균관대 교수(왼쪽)가 16일 경기 수원에 위치한 성균관대학교에서 고효율 펠티어 냉각 연구 컨소시엄을 체결했다. (자료제공=삼성전자)
▲위훈 삼성전자 DA사업부 선행개발팀장 부사장(오른쪽)과 김성웅 성균관대 교수(왼쪽)가 16일 경기 수원에 위치한 성균관대학교에서 고효율 펠티어 냉각 연구 컨소시엄을 체결했다. (자료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차세대 냉각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고효율 펠티어 냉각 기술 개발을 위한 컨소시엄을 발족했다고 17일 밝혔다.

고효율 펠티어 냉각 연구 컨소시엄에는 김성웅 성균관대 교수, 손재성 포항공대 교수, 이규형 연세대 교수, 홍순직 공주대 교수, 조중영 한국세라믹기술원 책임연구원 등이 참여한다.

고효율 펠티어 냉각 연구 컨소시엄은 냉매를 사용하지 않고 열전 소자를 활용해 전기적인 방식으로 냉각하는 펠티어 방식을 비롯해 차별화된 냉각 기술과 관련 공정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올해 펠티어 소자가 탑재된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 신제품을 출시했다. 이 제품은 펠티어 소자와 인공지능(AI) 인버터 컴프레서를 상황에 따라 단독 또는 복합 운전하며 냉각 방식을 조절해 에너지 사용량을 줄인다.

이번 컨소시엄은 이 제품은 물론, 펠티어 냉각 방식의 성능과 에너지 효율성을 한층 높이기 위한 연구에 주력하는 한편, 압축기 냉매 수준의 냉각 성능을 구현하는 신소재와 열 흐름 시스템 등 핵심 기술 발굴도 진행한다.

삼성전자는 이번 협력을 통해 발굴된 기술을 적용한 제품군을 늘리고, 컨소시엄 참여 기관과 연구진을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컨소시엄에서 제안된 기술에 대한 타당성 검증 후 관련 산학 과제를 추가로 추진하고, 삼성전자만의 노하우와 설비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위훈 삼성전자 DA사업부 선행개발팀장 부사장은 "삼성전자는 펠티어 방식을 포함해 성능과 에너지 효율성을 모두 갖춘 차세대 냉각 기술 개발을 위해 지속 노력해왔다"며 "국내 유수 대학의 전문 연구진들과 혁신 기술 발굴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 소비자의 실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전직 대통령 예우 대부분 박탈 [尹탄핵 인용]
  • 韓 권한대행 "美 상호관세 대응 등 시급한 현안 해결"
  • 챗GPT 이미지 생성도구 '완전 비활성화 상태'…"이용불가 메시지"
  • 발란 기업회생 개시…머스트잇도 ‘매각설 논란’
  • 홈플러스, 현금 확보 계획 요원...근본적 대안 있나[홈플러스 사태 한달]
  • 펫보험 개편에 소비자도 설계사도 '울상'…시장 위축 우려
  • 의대생들 “정부, 과오 인정하고 의료개악 해결해야” [尹탄핵 인용]
  • 격분한 尹 지지자, 곤봉으로 경찰버스 유리 파손…현행범으로 체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150,000
    • +0.1%
    • 이더리움
    • 2,670,000
    • -0.78%
    • 비트코인 캐시
    • 442,700
    • -0.58%
    • 리플
    • 3,124
    • +2.73%
    • 솔라나
    • 179,800
    • +4.05%
    • 에이다
    • 970
    • +0.83%
    • 이오스
    • 1,133
    • -9.86%
    • 트론
    • 351
    • -0.57%
    • 스텔라루멘
    • 382
    • -1.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390
    • -0.42%
    • 체인링크
    • 18,990
    • -0.21%
    • 샌드박스
    • 387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