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당관세 확대 등에 망고 등 수입과일 값 현저히↓

입력 2024-04-18 17: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기재차관 "신선과일 신속 통관ㆍ공급 확대로 물가부담 완화"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파인애플이 진열돼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이투데이DB)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파인애플이 진열돼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이투데이DB)

정부의 과일류 할당관세 적용 확대 등에 힘입어 망고, 바나나 등 수입과일 소비자 가격이 현저하게 떨어졌다.

정부는 장바구니 물가 안정을 위해 수입과일 신속 통과 및 공급 확대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은 18일 인천공항 인근 신선과일 수입 보세창고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과일 직수입 관련 기업을 방문해 통관·보관·운송 등 과일 수입 및 공급 과정 전반을 살펴보고, 현장의견을 청취했다.

정부는 작년 작황 부진으로 과일 가격이 강세를 보임에 따라 소비자 부담 완화를 위해 올해 1월 19일 바나나, 망고 등 과일류 21종에 할당관세를 적용했다.

이달 5일부터는 키위, 체리 등 8종을 추가해 할당관세 품목을 29종으로 대폭 확대하고, 할당관세 적용물량도 수입량 전량으로 확대했다.

그 결과 망고 소매가는 전년대비 35.6%, 바나나는 15%, 파인애플은 5.6%, 오렌지는 3.3% 각각 하락했다.

aT 관계자는 “할당관세가 적용되는 과일류 수입이 올해 1~3월 말 약 21만 톤 통관돼 전년보다 25.1% 증가했다"며 "이에 따라 4월 망고, 바나나, 오렌지, 파인애플 등 주요 수입과일의 소비자가격이 전년대비 눈에 띄게 하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소비자들이 보다 저렴하게 수입과일들을 구매할 수 있도록 aT가 수입과일을 직접 도입해 공급하고 있으며, 3월부터 현재까지 약 1만 톤의 과일을 20~30% 저렴한 가격으로 시중에 공급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aT 직수입 과일을 중·대형마트를 시작으로 점차 확대해 이달 4일부터 전국 1만2000여 개 골목상권에도 최대 30% 인하한 가격으로 공급하고 있다.

김 차관은 “장바구니 물가 안정을 위해 수입과일이 원활이 공급될 수 있도록 관세청에서 통관 과정에 어려움이 없도록 하고, aT에서도 직수입 과일을 6월말까지 5만톤 이상을 차질없이 공급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김 차관은 최근 알리, 테무, 쉬인 등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 이용자 급증에 따른 중국발 해외직구 물품 수입통관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인천공항세관 특송물류센터를 방문했다.

정부는 해외직구 물품 안전관리와 소비자 피해 방지 등을 위해 부처 합동 전담반(TF)를 구성해 운영 중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일치기로 충분!…놀러 가기 좋은 '서울 근교' 핫플레이스 5곳
  • 돈 없는데 어린이날에 어버이날까지…예상 지출 금액은 '39만 원' [데이터클립]
  • “끝날때까지 끝난게 아니다”...성공하고 실패했던 단일화의 역사
  • 황금연휴에는 역시 '마블'…2대 블랙 위도우의 '썬더볼츠*' [시네마천국]
  • 기재부 분리될까…대선에 걸린 예산권
  • 삼성물산? 현대건설?…전국구 '대장 아파트' 가장 많이 지은 건설사는 어디?
  • 미얀마 내전 개입하는 중국…반군 억제기로 부상
  • 관세 리스크 탈출 ‘대형 고객사’ 애플에 기대 거는 국내 부품사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699,000
    • -0.09%
    • 이더리움
    • 2,637,000
    • +0.57%
    • 비트코인 캐시
    • 522,500
    • -1.32%
    • 리플
    • 3,164
    • +0.09%
    • 솔라나
    • 209,700
    • -0.8%
    • 에이다
    • 1,006
    • +0.7%
    • 이오스
    • 1,033
    • +1.18%
    • 트론
    • 357
    • +0.28%
    • 스텔라루멘
    • 389
    • -0.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500
    • -1.29%
    • 체인링크
    • 20,390
    • -1.45%
    • 샌드박스
    • 405
    • -4.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