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래블, 오토아 자율주행 플랫폼 스위스 제네바 국제발명전시회 수상

입력 2024-04-23 14: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크래블이 ‘2024 스위스 제네바 국제발명품 전시회’에서 오토아(OTOA) 자율주행 플랫폼으로 은상을 수상했다. 주식회사 크래블 제공
▲크래블이 ‘2024 스위스 제네바 국제발명품 전시회’에서 오토아(OTOA) 자율주행 플랫폼으로 은상을 수상했다. 주식회사 크래블 제공

크래블은 ‘2024 스위스 제네바 국제발명품 전시회’에서 오토아(OTOA) 자율주행 플랫폼으로 은상을 수상했다고 23일 밝혔다.

해당 전시회는 유럽 최대 규모의 발명 분야 전시회로서 올해는 38개국에서 1035점의 발명품이 출품됐으며 지난 17일부터 21일까지 스위스 제네바 팔렉스포 전시장에서 5일간 개최됐다.

크래블은 앞서 17일부터 4월 19일까지 서울 코엑스 전시장에서 개최된 ‘2024 월드IT쇼’에서 오토아 자율주행 플랫폼을 통해 농기계와 골프카트, AGV 등의 특수목적 차량에 즉시 적용 가능한 자율주행 플랫폼을 선보인 바 있다.

크래블 측에 따르면 오토아 자율주행 플랫폼은 독자적인 GNSS-INS를 기반으로 카메라를 결합한 GVIO(GNSS Visual Inertial Odometry)의 독보적인 기술을 통해 실외는 물론 실내에서도 정밀한 자율주행이 가능하다는 것과 로봇 형태의 모빌리티는 컨트롤러의 직접 제어를 통해 자율주행이 가능한 점, 핸들 형태의 차량은 오토 스티어링의 단순 교체를 통해 자율주행이 가능하다는 것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자율주행 핵심 기술 중 위치 측위, 카메라, 센서 퓨전 등의 핵심 기술을 수입이 아닌 자체 기술로 개발함에 따라 가격경쟁력을 갖춰 향후 특수차량 자율주행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크래블 기술연구소 관계자는 “끊임없는 혁신과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노력이 세계 무대에서 인정받은 셈”이라며 “앞으로도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한 기존 모빌리티의 자율화를 선도하는 동시에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크래블 오토아 자율주행 플랫폼은 농업 부분에 우선 양산 적용되어 상용화되었다.”라며 “완전자율주행 기능을 가지는 무인 농약 살포기(SS기), 단순 핸들 교체를 통해 기존 농기계의 자율화가 가능한 자율주행 Kit를 통해 농업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첨단기술을 통한 로봇 플랫폼을 연내 출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S의 공포’ 촉발...글로벌 시장, 팬데믹급 충격 휘말려
  • 내수한파 방어할 새 경제수장 누구…전 장·차관 출신들 거론
  • 반도체 훈풍 속 입주 시작한 '고덕 유보라 더 크레스트' [가보니]
  • [유하영의 금융TMI] 금융권 AI 활용…어디까지 왔을까요?
  • 'CFE' 지고 'RE100' 집중?…'백년지대계' 에너지 정책 운명은?
  • 尹 파면 격분해 곤봉으로 경찰버스 파손한 20대 남성, 구속 기로
  • ‘이강인 결장’ PSG, 프랑스 리그1 4시즌 연속 우승 성공…트레블 도전 ‘청신호’
  • 美 상호관세 부과는 초탄, 진짜 충격은 중국·EU 등 주요국 보복관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8,872,000
    • -3.1%
    • 이더리움
    • 2,422,000
    • -8.43%
    • 비트코인 캐시
    • 411,200
    • -7.41%
    • 리플
    • 2,977
    • -5.43%
    • 솔라나
    • 161,300
    • -8.4%
    • 에이다
    • 880
    • -8.43%
    • 이오스
    • 1,172
    • +4.36%
    • 트론
    • 350
    • -0.57%
    • 스텔라루멘
    • 358
    • -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660
    • -10.4%
    • 체인링크
    • 17,230
    • -7.96%
    • 샌드박스
    • 352
    • -8.5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