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서울아산병원 등 전국 대학병원 잇달아 ‘주 1회 휴진’ 결정

입력 2024-04-23 20:0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전국 의과대학 비상대책위원회, 온라인 총회 열고 진료·수술 축소 여부 논의

▲전국의 의과대학을 졸업해 수련을 앞둔 예비 인턴들이 임용 포기를 하고 나선 가운데 26일 서울의 한 대학병원 의국 휴게실에 의사 가운이 걸려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전국의 의과대학을 졸업해 수련을 앞둔 예비 인턴들이 임용 포기를 하고 나선 가운데 26일 서울의 한 대학병원 의국 휴게실에 의사 가운이 걸려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정부의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대하며 전공의들이 집단으로 의료 현장을 떠난 지 두 달이 지난 가운데, 전국의 대학병원 교수들이 정신적·신체적 한계에 도달했다며 주 1회 휴진을 결정했다.

서울대 의과대학·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23일 오후 총회를 열고 이달 30일부터 주 1회 휴진(셧다운)하기로 결의했다. 서울아산병원 등에서 일하는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들도 이날 총회를 열고 지난달 사직서를 제출한 교수들은 25일부터 사직을 진행하고, 진료과별 사정에 따라 당장 병원을 그만두지 못하고 남은 교수들은 다음 달 3일부터 주 1회 휴진하기로 결정했다.

앞서 충북대병원과 충남대병원·세종충남대병원 등은 이미 주 1회 휴진을 결정했다. 충북대병원은 이달 초부터 금요일 휴진을 하고 있고, 충남대병원은 전날 “이번 주 금요일(26일)부터 외래 휴진을 시작할 방침이다. 의료진 소진 방지로 환자 안전 최우선을 위한 조치”라고 밝힌 바 있다.

전국 20개 의과대학 교수들이 속해 있는 전국 의과대학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도 이날 오후 7시 온라인으로 총회를 열고 진료나 수술 축소 여부 등과 함께 집단 사직 문제를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의대 교수들은 정부의 적절한 조치가 없다면 예정대로 25일부터 사직을 진행하겠다는 입장이다. 사직서를 제출한 지 한 달이 지난 만큼 자동으로 사직 효력이 발생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정부는 임명권자가 수리하지 않은 사직은 무효라고 지적한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전날 브리핑에서 “사직서를 수리하기 위해 사전에 점검해야 하는 절차가 있으나 그런 것들이 진행된 게 없어 당장 효력이 발생한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붕괴 사고'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밤샘수색…1명 구조·1명 실종
  • 게임에서 만나는 또 다른 일상…‘심즈’의 왕좌 노리는 크래프톤 ‘인조이’ [딥인더게임]
  • 침팬지 탈을 쓰고나온 로비 윌리엄스…'위대한 쇼맨'의 서사 [시네마천국]
  • "이번 주 지나면 내년에 봐야"…올해 마지막 벚꽃 보려면 어디로? [주말N축제]
  • 뉴욕증시, 역사적 급등락 주간 강세로 마무리…나스닥 2.06%↑
  • 서울 지하철로 떠나는 벚꽃 여행
  • 육사, ‘필기’ 없는 전형 신설…생기부로 평가한다
  •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 공개…넷플릭스, 신작 출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457,000
    • +2.19%
    • 이더리움
    • 2,268,000
    • -0.4%
    • 비트코인 캐시
    • 457,000
    • +4.74%
    • 리플
    • 2,942
    • -0.1%
    • 솔라나
    • 176,000
    • +3.83%
    • 에이다
    • 905
    • -1.52%
    • 이오스
    • 891
    • -6.6%
    • 트론
    • 353
    • +1.15%
    • 스텔라루멘
    • 341
    • -0.8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550
    • +1.37%
    • 체인링크
    • 18,330
    • +0.22%
    • 샌드박스
    • 378
    • -1.5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