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대통령, 기자회견 끝난 뒤 경제이슈점검회의...부동산 PF·공매도 등 현안 논의

입력 2024-05-09 19:2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9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제1차 경제이슈점검회의가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9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제1차 경제이슈점검회의가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9일 기자회견을 연 뒤 경제이슈점검회의를 주재하고 기업 밸류업 지원과 불법 공매도 차단 등을 논의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제1차 경제이슈점검회의'에서 부동산 PF, 기업 밸류업, 공매도 등 경제·금융 현안을 점검했다. 회의에는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참석했다. 거시·금융 상황 점검을 위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참석했다.

윤 대통령은 부동산 PF 문제 해결할 수 있도록 연착륙 정책을 당부했다. 사업성이 충분한 정상 PF 사업장에는 자금을 원활하게 공급하고, 사업성이 부족한 일부 사업장에 대해 재구조화와 정리를 추진하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원 조치를 마련하라는 지시다.

기업 밸류업 지원에선 다수 기업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세제 지원 등 인센티브 방안을 신속하게 추진할 것을 주문했다. 투자자들의 이익을 보호할 수 있는 기업지배구조 개선에 대해 구체적인 방안 마련도 요청했다.

공매도 제도 개선 방안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윤 대통령은 "투자자를 보호하고 자본시장의 공정성을 확립하기 위해 공매도 제도가 근본적으로 개선돼야 한다"며 "기관‧외국인의 불법 공매도가 반복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불법 공매도를 점검·차단할 전산시스템을 철저히 구축할 것"을 강조했다.

또 경기 회복세가 뚜렷해지고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거시경제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윤 대통령은 "반도체 등 주요 경제 현안에 대해 관련 부처·기관이 참석하는 '경제이슈점검회의'를 집중적으로 개최, 리스크 요인을 점검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하겠다"고 언급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비교 대상이 오타니?…“우리도 이정후 있다” [해시태그]
  • 기관이 주도하는 폭력의 시대…개미들을 어떻게 살아남아야 하나 [블록렌즈]
  • 한 달 뒤 공개될 반도체 관세 예의주시…'中 한정 고관세' 시나리오 무게
  • 단독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두고 의총협 “‘3058+α’ 등 3개 안 ‘고심’"
  • ‘미국 민감국가명단’ 결국 한국 포함돼 발효…긴밀 협력 차질 가능성
  • 결혼 안 하거나 망설이는 이유, 남녀 달랐다 [데이터클립]
  • ‘강력한 안정감’ 프리미엄 전기 SUV 왕좌 노리는 ‘더 뉴 아우디 Q6 e-트론’ [ET의 모빌리티]
  • "얼마 전에 끝났는데, 또?"…내 '아이돌'이 월드투어 도는 이유 [이슈크래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803,000
    • -0.03%
    • 이더리움
    • 2,340,000
    • -0.64%
    • 비트코인 캐시
    • 471,500
    • -0.53%
    • 리플
    • 3,091
    • -0.39%
    • 솔라나
    • 186,900
    • -0.53%
    • 에이다
    • 901
    • -2.38%
    • 이오스
    • 870
    • -2.79%
    • 트론
    • 365
    • +0%
    • 스텔라루멘
    • 351
    • +0.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440
    • -0.91%
    • 체인링크
    • 18,080
    • -1.74%
    • 샌드박스
    • 363
    • -3.9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