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증시 반등…ELS 손실 만회 촉각

입력 2024-05-12 09:1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H지수 6700선 회복…연초 최저점 대비 36%↑
2~4분기 만기 도래 11.3조…손실률 40% 주목

▲홍콩 항셍중국기업지수(H지수)기초 주가연계증권(ELS) 피해자 모임 회원들이 3월 15일 오후 서울 중구 NH농협은행 앞에서 열린 '대국민 금융 사기 규탄 집회'에서 투자 원금 전액 배상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뉴시스)
▲홍콩 항셍중국기업지수(H지수)기초 주가연계증권(ELS) 피해자 모임 회원들이 3월 15일 오후 서울 중구 NH농협은행 앞에서 열린 '대국민 금융 사기 규탄 집회'에서 투자 원금 전액 배상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뉴시스)

홍콩 항셍중국기업지수(H지수)가 ‘중국판 밸류업’에 반등하며 홍콩 주가연계증권(ELS) 투자 손실이 줄 수 있다는 기대가 고개를 들고 있다.

1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홍콩H지수는 10일 전 거래일 대비 2.41% 오른 6718.86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해 9월 이후 8개월여만인 3일 6500선을 회복한 데 이어 6700선을 넘겼다. 1월 기록한 장중 최저점(4943.24)과 비교해서는 약 36% 뛴 수치다.

H지수 상승세 배경에는 중국 당국이 내놓은 ‘신(新) 국9조’가 자리했다.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에 불참하는 기업에 제재를 가하는 정책이다. 당국은 이번 조치에서 대상 기업을 국영 기업에서 민영기업으로 확장했다. 밸류업에 나설 상장사가 늘 것이라는 시장 전망이 강해진 이유다.

H지수 상승세가 계속되면 ELS 손실분을 만회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금융감독원은 2~4분기 은행과 증권사의 H지수 ELS 만기 도래 규모를 약 11조3000억 원으로 파악하고 있다. 유안타증권에 따르면 홍콩 ELS 만기 상환 손실률은 1~2월 55%대, 3월 50.1%로 나타났다.

당장 ELS 손실률이 40%대로 떨어질지가 관건이다. 금융투자업계는 H지수가 6500선 이상 오르면 일부 투자자가 원금을 지킬 수 있다고 보고 있다. ELS 손실률이 40%까지 떨어질 경우, 2~4분기 손실 규모는 4조5200억 원대로 추산된다. 3월 집계된 손실률 50.1%를 적용할 때보다 약 1조1300억 원 적다.

노녹인(no-knock-in)형은 지수 변동과 관계없이 만기 시점 지수가 가입할 때의 65% 수준이면 원금과 이자를 받을 수 있다. 녹인(knock-in)형은 계약 기간 중 자산 가격이 가입 시점보다 50% 이하 하락하면 원금이 손실된다. 원금 보장 조건은 지수 가입 시점 대비 70% 이상 상승이다.

통상 ELS 만기는 3년이다. 2021년 1분기 H지수는 1만2000선까지 올랐던 바 있다. 그해 2분기 H지수는 1만~1만1200대를 오갔고 3분기는 8400~1만, 4분기는 8000~9300대를 각각 기록했다.

정인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1분기 상환 금액 증가는 만기 상환 급증 결과로, 질적으로는 그리 좋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면서도 “글로벌 증시 흐름으로 볼 때 2분기 중 1차 조기 상환 여건은 양호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서울고법, ‘李 선거법’ 파기환송심 첫 공판 6월 18일로 연기
  • 최태원 SK회장 공식사과..."문제해결 위해 책임 다하겠다"
  • 단독 “차액가맹금 돌려달라”…맘스터치 가맹점주 200여명도 소송 나섰다
  • 대선 후 2차 추경 무게…재정부담 커질듯
  • 빅딜 시동 건 삼성전자, 다음 M&A 타깃은
  • 김병환 "3단계 DSR, 지방엔 차등 적용…MG손보 처리방안은 이달 중 발표"
  • 아파트값 격차 또 역대 최대…끝 안 보이는 양극화
  • 이정후, 22경기 만에 홈런 '쾅'…타율 0.312로 올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950,000
    • +1.74%
    • 이더리움
    • 2,593,000
    • +0.89%
    • 비트코인 캐시
    • 524,500
    • +2.04%
    • 리플
    • 3,027
    • +0.83%
    • 솔라나
    • 206,900
    • +0.24%
    • 에이다
    • 957
    • +1.59%
    • 이오스
    • 981
    • -1.6%
    • 트론
    • 347
    • -1.14%
    • 스텔라루멘
    • 370
    • +0.8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650
    • -1.62%
    • 체인링크
    • 19,630
    • +1.66%
    • 샌드박스
    • 385
    • -1.5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