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교통당국, 아마존 자율주행택시 사고 2건 조사 착수

입력 2024-05-14 08: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아마존 인수한 자율주행차 스타트업
예기치 않은 급제동 탓에 후방 추돌
도요타 '하이랜더' 기반 시험차 사고

▲아마존이 소유한 자율주행 스타트업 죽스(Zoox)의 로보(무인자율)택시 콘셉트. 레벨 5 수준의 궁극적인 자율주행차를 염두에 둔 만큼, 운전대 자체를 걷어낸 게 특징이다. 이번 미국 교통당국의 조사 대상인 사고 차는 죽스의 자율주행 시스템을 시범 장착한 '도요타 SUV 하이랜더'였다.  (출처=죽스닷컴)
▲아마존이 소유한 자율주행 스타트업 죽스(Zoox)의 로보(무인자율)택시 콘셉트. 레벨 5 수준의 궁극적인 자율주행차를 염두에 둔 만큼, 운전대 자체를 걷어낸 게 특징이다. 이번 미국 교통당국의 조사 대상인 사고 차는 죽스의 자율주행 시스템을 시범 장착한 '도요타 SUV 하이랜더'였다. (출처=죽스닷컴)

아마존이 소유한 자율주행 스타트업 죽스(Zoox)의 로보(무인 자율)택시가 2건의 교통사고를 일으켜 미국 교통 당국의 조사를 받게 됐다. 예기치 않은 급제동으로 인해 뒤에서 따라오던 바이크가 후방추돌을 일으켰던 것으로 전해졌다.

로이터와 블룸버그 등은 13일(현지시간) 도로교통안전국(NHTSA) 발표를 인용해 "교통 당국이 죽스의 자율주행시스템(ADS)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고 보도했다.

NHTSA의 결함조사국(ODI)은 죽스의 자율주행시스템이 장착된 채 운행 중이던 도요타 SUV 하이랜더에서 예기치 않은 급제동이 발생, 뒤에서 오던 오토바이가 자율주행차를 추돌하는 사고가 2건 있었다고 전했다. 추돌 사고 바이크 운전자들은 모두 경상을 입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ODI는 이들 사고 당시 죽스의 차량이 모두 자율주행 모드로 주행 중이었음을 확인했다. 당국의 조사는 죽스의 차량 약 500대를 대상으로 이뤄진다.

당국은 "이번 조사는 죽스의 자율주행시스템이 보행자들이 이용하는 건널목과 추돌 가능성이 있는 다른 비슷한 시나리오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평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마존은 2020년 9월 12억 달러(약 1조6400억 원)에 자율주행차 스타트업 죽스를 인수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새 아이폰에 국산 부품 대거 탑재⋯中 추격 제동 [ET의 칩스토리]
  • '불꽃야구' 시끄러웠던 2025 트라이아웃 드디어 공개…김성근 픽은 누구?
  • 동학개미 표심 잡기 ‘사활’…대선후보 '배당소득세 완화·가상자산' 쏟아지는 자본시장 공약
  • "내란세력" "가짜 진보" "압도적 새로움"…판 뒤집을 '한 방'은 아직
  • “첨단 AI 솔루션 대거 선봬”…삼성·SK, 美 ‘DTW 2025’ 나란히 참가
  • ‘공적자금 연명’ MG손보, 구조조정 남았다⋯계약 유지 여전히 '안갯속'
  • 국산쌀은 일본행, 쌀가공식품은 미국행…찬밥 신세 벗어난 K-쌀[우리쌀, 해외서 재발견]
  • 배터리업계, 구조조정 도미노…“강한 기업만 살아남는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3 10:4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996,000
    • -1.07%
    • 이더리움
    • 3,448,000
    • -1.6%
    • 비트코인 캐시
    • 564,500
    • -0.53%
    • 리플
    • 3,461
    • +4.47%
    • 솔라나
    • 239,300
    • -1.07%
    • 에이다
    • 1,115
    • -0.62%
    • 이오스
    • 1,195
    • -6.49%
    • 트론
    • 375
    • +1.08%
    • 스텔라루멘
    • 428
    • -0.4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700
    • -5.53%
    • 체인링크
    • 22,980
    • -2.96%
    • 샌드박스
    • 486
    • -2.0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