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카드, ‘퓨처나인’ 8기 참여 기업 8곳 선발

입력 2024-05-14 09: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KB국민카드와 완성도 높은 협업 추진할 기업 선발
선발된 스타트업에 직∙간접 투자기회 등 혜택 제공

(사진제공=KB국민카드)
(사진제공=KB국민카드)

KB국민카드가 미래 생활 혁신을 선도할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협업하는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인 ‘퓨처나인(FUTURE9)’ 8기에 참여할 8개 기업을 최종 선발했다고 14일 밝혔다.

‘퓨처나인’ 프로그램은 카드사 본업 경쟁력 강화 및 미래 신규사업 영역을 발굴하기 위해 2017년부터 8년째 이어져 오고 있다.

△상생금융 △플랫폼콘텐츠 △신소비트렌드 △데이터 비즈(Data-Biz) △카드결제확대 △라이프&쇼핑 △프로세스 혁신 △페이먼트(Payment) 솔루션 △글로벌 등 영역에서 혁신적인 기술, 제품, 서비스 역량 등을 보유한 기업을 대상으로 모집을 진행했다. △시장성 △사업성 △경쟁력 △협업 가능성 등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스타트업을 선발했다.

8기 프로그램 선발기업들은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국민카드 실무부서, 공동운영사인 ‘N15파트너스’와 함께 각 기업별 집중 워크숍을 진행한다. 각 스타트업이 선발단계에서 제안한 사항 외에 추가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구체적인 협업 사항을 도출할 예정이다.

이를 토대로 △신사업·공동사업화 추진 △데이터 활용 협업 △공동 마케팅 등 다양한 협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유망 스타트업에 대한 지속적인 성장 지원과 협업을 위해 결성한 130억 원 규모의 ‘퓨처나인’ 전용 펀드를 활용해 미래 신사업 발굴과 연관성이 높은 혁신적 기술보유 기업에 대한 투자를 검토할 예정이다. 제휴 벤처캐피탈사(VC)를 통한 투자 지원, KB국민은행, KB손해보험 등 KB금융그룹 주요 계열사와 연계한 공동 프로젝트 등의 혜택도 지원할 계획이다.

국민카드 관계자는 “하반기 중에도 협업이 가능한 우수 스타트업을 추가적으로 발굴하기 위해 타기관과의 제휴 등을 추진할 예정”이라며, “퓨처나인이 다양한 스타트업 간 상생이 가능한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으로 성장하도록 계속 노력할 것” 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해킹 여파에 '탈 SKT' 행렬…하루만에 2만5000명 빠졌다
  • 韓, '대행 지명 금지' 헌재법 거부권…"대통령 임명권 형해화"
  • '대구 산불' 23시간 만에 진화…휴교령 내린 학교도 내일부터 정상등교
  • 이승기, 무거운 소식 전했다…"장인어른 사건 참담, 처가와 관계 단절할 것"
  • 특허가 사업 판가름…K바이오, 특허 전쟁 격화
  • “한국 취업 너무 힘들어요”…다시 짐싸는 K-유학생들 [두뇌유출 中]
  • 부활하는 브라질 국채 …신용도·환차손 경고음
  • 야구장부터 테마파크까지…캐릭터가 '어른이'들을 홀린 비결 [이슈크래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9 14:2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223,000
    • +0.54%
    • 이더리움
    • 2,589,000
    • +0.39%
    • 비트코인 캐시
    • 530,500
    • +4.95%
    • 리플
    • 3,285
    • +0.09%
    • 솔라나
    • 211,500
    • -1.44%
    • 에이다
    • 1,010
    • -1.37%
    • 이오스
    • 985
    • +0.92%
    • 트론
    • 358
    • +1.13%
    • 스텔라루멘
    • 405
    • -2.1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250
    • -2.77%
    • 체인링크
    • 21,510
    • +0.75%
    • 샌드박스
    • 433
    • +1.6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