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증권 1분기 영업익 22% 늘어…채권·운용·IB '3박자'

입력 2024-05-16 16: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18년 임재택 대표이사 취임 당시 대비 84% 증가

(출처=한양증권)
(출처=한양증권)

한양증권은 1분기 매출액 1929억 원, 영업이익 196억 원을 기록했다고 16일 공시했다.

지난해보다 매출액은 41.8%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22.1% 성장하면서 내실을 채웠다. 당기순이익도 같은 기간 23.3% 증가한 134억 원을 거두면서, 수익성 지표인 연 환산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0.84%를 기록했다.

2018년 임재택 대표이사 취임 당시와 2024년 1분기를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한양증권의 자기자본은 2699억 원에서 4964억 원으로 84% 증가했다. ROE 또한 1.7%에서 10.84%로 6배 이상 상승했다.

실적 호조를 견인한 배경에는 채권, 운용, 기업금융(IB) 등 3개 부문이 꼽힌다. 채권부문은 금리 변동성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며 수익성을 높였고, 운용부문은 시장 상황에 적합한 운용 전략을 통해 수익을 창출했다는 설명이다.

IB 부문의 경우 회사채 발행 수요가 증가하고, 여전채 등 니치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며 주식발행시장(ECM)·채권발행시장(DCM) 등의 기업금융을 담당하는 FICC Sales 센터에서 우수한 성과를 달성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회복 또한 기대되는 지점이다. 임재택 한양증권 대표이사는 올해 초 부동산 경기 침체로 사업 부문을 축소하는 대신 부동산 PF의 면역력을 키우는 방향을 택하며 업계의 우수 PF 인력을 대거 영입했다.

한양증권 측은 이번 1분기 실적에 대해 "지난 3월 임재택 대표이사 4연임 확정 이후 쾌조의 스타트"라며 "2018년 임재택 대표이사 취임 당시와 비교했을 때 한양증권의 자기자본은 2699억 원에서 4964억 원으로 84% 증가했고, ROE 또한 1.7%에서 10.84%로 6배 이상 상승했다"고 말했다.

이어 "2분기에는 채권, 운용, IB의 삼각편대를 견고히 유지한 채 리스크를 철저히 관리해온 부동산PF 부문의 실적 반환(턴어라운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반도체 관세율 곧 발표, 일부 유연성 있을 것...애플도”
  • 언니 푸바오처럼…루이바오·후이바오도 독립할 준비 [해시태그]
  • 파생상품 ETF 출시한 리플…트럼프 밈코인은 80% 급락 [글로벌 코인마켓]
  • 尹 "평화적 대국민 메시지" 혐의 전면 부인..."국민참여재판 원치 않아"
  • 이빨 빠진 타이거즈, 공포의 4연전 어떻게 넘기나…산 넘어 산 [주간 KBO 전망대]
  • 제로 아닌 탄산음료, 한 캔에 각설탕 11개 들어간다 [데이터클립]
  • '최강야구' 아닌 '불꽃야구'로…방송 플랫폼은?
  • 전세 사기 기승인 요즘, ‘1인 가구 전월세 안심계약 도움서비스’ 받으세요 [경제한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842,000
    • +0.12%
    • 이더리움
    • 2,427,000
    • +4.16%
    • 비트코인 캐시
    • 493,600
    • -1.67%
    • 리플
    • 3,111
    • -3.42%
    • 솔라나
    • 192,400
    • +2.34%
    • 에이다
    • 936
    • -1.47%
    • 이오스
    • 903
    • -5.54%
    • 트론
    • 373
    • +4.48%
    • 스텔라루멘
    • 356
    • -1.9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200
    • -1.65%
    • 체인링크
    • 19,040
    • +1.17%
    • 샌드박스
    • 386
    • +0.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