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석영 '철도원 삼대' 부커상 불발…동독 출신 작가 '카이로스' 선정

입력 2024-05-22 09:1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철도원 삼대'를 쓴 소설가 황석영이 21일(현지시간) 밤 영국 런던 테이트모던에서 열린 인터내셔널 부커상 시상식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철도원 삼대'를 쓴 소설가 황석영이 21일(현지시간) 밤 영국 런던 테이트모던에서 열린 인터내셔널 부커상 시상식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영국의 권위 있는 문학상 중 하나인 부커상 인터내셔널 부문 최종 후보에 오른 소설가 황석영의 '철도원 삼대' 수상이 아쉽게 불발됐다. 수상작은 동독 출신의 작가 예니 에르펜베크의 '카이로스'다.

21일 밤(현지시간) 영국 런던 테이트모던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심사위원단은 올해 부커상 인터내셔널 부문 수상자로 에르펜베크의 '카이로스'를 선정했다. 번역은 독일의 시인이기도 한 미하엘 호프만이 맡았다.

'카이로스'는 1980년대 말 베를린 장벽이 붕괴하던 시점을 배경으로 두 연인의 여정을 그려냈다. 소설을 쓴 에르펜베크는 1967년 동베를린에서 태어났다. 오페라 연출가이자 감독, 극작가로도 활동해왔다. 독일 작가로는 최초의 수상이다. 에르펜벡은 2018년 부커상 1차 후보(롱리스트)에 오른 바 있다.

심사위원단은 "1980년대 동베를린의 젊은 여성과 나이 든 남자 사이의 파괴적인 불륜을 다루고 있으며 두 연인은 동독의 무너진 이상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희망과 실망에 대한 성찰인 이 소설은 자유와 복종, 사랑과 권력에 대한 복잡한 질문을 던진다"고 설명했다.

이어 "아름답고도 불편하고 개인적이면서도 정치적이기도 하다"면서 "에르펜베크는 운명과 선택의 본질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세대를 정의하는 정치적 발전과 파괴적이고 잔인하기까지 한 사랑 사이의 연결고리를 찾아내도록 한다"고 평했다.

한편 수상 불발 소식이 알려진 후 황석영은 연합뉴스에 "(한국 독자들이) 속상해할 것 같다"며 "더 열심히 쓰겠다"라고 밝혔다.

'철도원 삼대'는 구상부터 집필까지 30년이 걸렸다. 철도원 가족을 둘러싼 이야기를 통해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 한반도의 역사를 조명한다. 황 작가는 2019년 '해질 무렵'으로 같은 부문 1차 후보에 오른 바 있다.

비영어권 작가들의 번역 작품을 대상으로 하는 인터내셔널 부문은 2005년 신설됐다. 작가와 번역가는 상금 5만 파운드(약 8500만 원)를 나눠 가진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속보 미중 “90일간 관세 일부 유예”…공동성명 발표
  • "내란세력" "가짜 진보" "압도적 새로움"…판 뒤집을 '한 방'은 아직
  • 수방사 前부관 “尹, 이진우에게 ‘총 쏴서라도 들어가’라고 지시”
  • SKT, 12일부터 유심 재설정 도입…대리점 직접 방문해야
  • “대권 꿈 깨셨으면 집에 가세요”…경선 탈락 광역단체장 복귀에 지역 민심 ‘부글’ [이슈크래커]
  • D램 3사, 가격 줄인상…관세 덮치는 하반기엔 더 오를듯
  • 삼성물산 vs 현대건설, '재건축 끝판왕' 압구정 2구역 쟁탈전 [정비사업 불꽃 수주전②]
  • 줄어든 식집사?…좋지만 번거로움에 멈춘 식물 키우기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695,000
    • +0.82%
    • 이더리움
    • 3,586,000
    • +2.31%
    • 비트코인 캐시
    • 583,500
    • +1.39%
    • 리플
    • 3,402
    • +2.78%
    • 솔라나
    • 246,500
    • +1.61%
    • 에이다
    • 1,157
    • +3.95%
    • 이오스
    • 1,299
    • +2.36%
    • 트론
    • 380
    • +3.83%
    • 스텔라루멘
    • 442
    • +3.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8,650
    • +0.95%
    • 체인링크
    • 24,410
    • +5.53%
    • 샌드박스
    • 515
    • +4.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