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그 많던 카드 모집인 어디로…첫 5000명 선 붕괴

입력 2024-06-05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4-06-04 17:0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2018명 1만명대→올 5월 4921명
카드사 영업점도 1년새 24곳 감소
조달비용 상승으로 모집인 수 급감
온라인 발급 활성화에 설 자리 잃어

지난달 처음으로 카드모집인 수 5000명 선이 붕괴됐다. 비대면 발급 추세가 확산되고 있는 데다 조달비용이 상승하며 카드사들이 몸집 줄이기에 나선 영향으로 풀이된다.

4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8개 전업 카드사(신한·삼성·현대·KB국민·롯데·하나·우리·BC카드)의 5월 말 기준 신용카드 모집인 수는 4921명으로 집계됐다. 카드모집인이 5000명 아래로 떨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카드모집인 감소세는 2016년부터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카드모집인은 2002년 말 8만7733명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2003년 카드 사태 여파로 대부분 구조조정을 겪었다.

2016년 2만2872명으로 떨어졌고 이듬해 2017년 1만6658명을 기록, 1만 명대까지 내려앉았다. 이후 △2020년 9217명 △2021년 8145명 △2022년 7678명 △2023년 5818명으로 매년 1000명씩 뚝뚝 줄어들었다. 올해 초 여신금융협회가 주최하는 신용카드 모집인 등록시험이 4년 만에 재개됐지만, 신규 지원자 수는 급감했다.

영업점도 쪼그라들고 있다.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8개 카드사의 국내 영업 점포 수는 121개로 전년(145개) 대비 24개 줄었다.

연도별 추이로 살펴보면 △2019년 206개△2020년 192개 △2021년 197개 △2022년 145개 △2023년 121개로 꾸준히 감소세다. 이같은 추세라면 올해는 100개 밑으로 떨어질 것으로 추정된다.

카드사별 모집비용도 줄었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전업 카드사의 총 모집비용은 841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300억 원 감소했다.

카드사들이 몸집을 줄이고 있는 이유는 조달비용이 치솟았기 때문이다. 카드사들은 영업점과 모집인 등 대면 영업을 대폭 축소하며 수익성 방어에 나서고 있다. 한국신용카드학회에 따르면 올해 자금조달 비용은 전년 대비 2200억 원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카드사 몸집 줄이기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배경이다.

카드 상품의 단순한 구조도 모집인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카드모집인과 달리 보험설계사 수는 40만 명 대를 유지하고 있다. 카드와 달리 보험 상품은 복잡한 구조를 갖고 있어 보험 가입 시 설계사의 도움이 여전히 필요하기 때문이다.

카드모집인들에게는 신규 고객 유치 시 길거리 모집 행위와 연회비 10%를 초과하는 경제적 이익 제공을 금지하는 규제도 모집인 감소의 요인이 됐다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신용카드 온라인 발급률은 50%에 육박했다. 카드모집인의 필요성이 줄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최근 들어 카드모집인을 대신해 보험업계 등 대면 영업 조직이 큰 금융권에서는 카드 모집을 부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보험설계사들이 보험 이외에 카드 등 금융상품을 상담하는 종합자산관리 컨설턴트로 변화한 것이다.

지난 4월 롯데손해보험은 자사 위촉 설계사에게 롯데카드 모집인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롯데카드와 업무 제휴를 맺었다. 일정 자격을 취득하면 카드모집인으로도 활동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다만 카드모집인 수가 너무 줄어들면 카드사들의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서지용 한국신용카드학회장은 “카드모집인 감소는 조달비용과 적격비용 수수료 인하 등 카드사의 수익 악화로 인해 나타난 문제”라며 “플랫폼을 통한 가입자는 카드 혜택이 없어지면 이탈할 가능성이 높아 적정 수준의 카드모집인 유지는 필요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사람인 줄 알았는데"…내가 선택한 남자친구가 AI라고? [이슈크래커]
  • 트럼프 “반도체 관세율 곧 발표, 일부 유연성 있을 것...애플도”
  • 언니 푸바오처럼…루이바오·후이바오도 독립할 준비 [해시태그]
  • 파생상품 ETF 출시한 리플…트럼프 밈코인은 80% 급락 [글로벌 코인마켓]
  • 尹 "평화적 대국민 메시지" 혐의 전면 부인..."국민참여재판 원치 않아"
  • 이빨 빠진 타이거즈, 공포의 4연전 어떻게 넘기나…산 넘어 산 [주간 KBO 전망대]
  • 제로 아닌 탄산음료, 한 캔에 각설탕 11개 들어간다 [데이터클립]
  • '최강야구' 아닌 '불꽃야구'로…방송 플랫폼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705,000
    • +1.02%
    • 이더리움
    • 2,346,000
    • +1.65%
    • 비트코인 캐시
    • 472,900
    • -5.19%
    • 리플
    • 3,093
    • +0.75%
    • 솔라나
    • 187,000
    • +1.52%
    • 에이다
    • 919
    • -0.54%
    • 이오스
    • 890
    • -0.45%
    • 트론
    • 366
    • -0.27%
    • 스텔라루멘
    • 346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760
    • -0.1%
    • 체인링크
    • 18,300
    • +0.33%
    • 샌드박스
    • 376
    • +0.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