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채권 규모 22년만 ‘최대’…여신업계, 공동매각 나선다

입력 2024-06-09 14: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캐피털 부실채권 규모 22년만 최대
개인사업자 부실채권의 자산유동화 방식 공동매각 추진
캐피털사 7곳·카드사 1곳 매각 참여

카드·캐피털사 등 여신전문금융회사들이 부실채권 줄이는 데 안간힘을 쓰고 있다. 치솟는 연체율을 잠재우기 위해 연체채권에 대한 공동매각에 나선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여신금융협회는 지난달 두 차례에 걸쳐 회원사를 대상으로 연체채권 공동매각 관련 설명회를 열었다.

캐피털사는 최근 부실채권이 늘어나며 연체율이 오르자 연체채권을 부실채권(NPL) 전문투자회사인 에프앤아이(F&I)에 공동매각하고 싶다는 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개별 금융사가 부실채권을 정리하는 경우 매각 규모가 작고 거래가 어려워 여러 금융사가 공동으로 부실채권을 매각하고 싶다는 의사를 협회에 전달한 것이다.

두 차례 회의 결과 캐피털사 7곳, 카드사 1곳이 공동매각 참여 의사를 밝혔다. 공동매각하는 채권은 개인 차주의 연체채권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여신업계에서 공동으로 매각을 진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달 중 부실채권 매각 관련 자문회사를 선정하고 매각자산을 확정할 계획이다.

캐피털사들이 떠안고 있는 부실채권 규모는 크게 늘어났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51개 캐피털사의 고정이하여신은 4조1810억 원으로 전년 대비 49% 늘었다. 2001년 말(7조8151억 원) 이후 최대 규모다.

고금리 여파로 연체가 계속 쌓이며 캐피털사의 부실채권은 계속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같은 기간 캐피털사들이 내준 대출에서 상환이 1개월 이상 밀린 연체액은 3조30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4.2% 증가했다.

앞서 금융당국은 지난해 6월 개인 무담보 연체채권을 캠코의 ‘개인연체채권 매입펀드’ 외에도 부실채권전문투자사에 매각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저축은행과 캐피털사 등 금융사는 건전성 관리를 위해 연체채권을 적극적으로 정리할 수 있게 됐다.

캐피털 업계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 방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캐피털사의 부동산 PF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25조8000억 원으로 은행, 보험사 다음으로 많다. 캐피털이 취급하는 부동산 PF 대출은 은행권과 보험사가 갖고 있는 본 PF 대출에 비해 부실 가능성이 큰 브리지론이 대부분이다.

여신업계도 자체적으로 부실채권을 자체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지난해 9월 ‘여전업권 PF 정상화 지원펀드’를 조성했다. 1600억 원 규모의 1차 PF 정상화 지원펀드를 이달 중 전액 집행할 계획이다. 2600억 원 규모의 2차 펀드도 조성했다.

여신업계 관계자는 “개인사업자 차주의 부실채권 매각이 가능해지면 연체율을 다소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저축은행의 부실채권 공동매각 사례를 캐피털사들이 벤치마킹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여의도 벚꽃 축제 시작…나들이 가기 전 '꿀팁' 알아볼까? [이슈크래커]
  • '강달러' 숨고르기는 언제…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경신
  • 국내외 유망 기업서 경험 쌓고 싶다면…‘서울형 청년인턴 직무캠프’ 알아볼까 [경제한줌]
  • 韓대행 헌법재판관 임명에 '격앙'…민주, 재탄핵 카드 꺼내나
  • 나스닥 대신 디지털 금?…트럼프 2.0 시대, 비트코인의 현주소 [블록렌즈]
  • "지금이라도 손절할까요"…테슬라 폭락에 서학개미 '피눈물'
  • 尹, 11일 대통령 관저 퇴거 예정... 아크로비스타로 이동 [포토]
  • 대한항공 기장들도 터진 탄핵 갈등…이번 대선은 '진짜' 극과 극? [해시태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9,283,000
    • +2.49%
    • 이더리움
    • 2,345,000
    • +2.09%
    • 비트코인 캐시
    • 422,200
    • +4.89%
    • 리플
    • 2,915
    • +5.08%
    • 솔라나
    • 164,700
    • +4.9%
    • 에이다
    • 915
    • +8.54%
    • 이오스
    • 1,096
    • -0.63%
    • 트론
    • 352
    • +3.53%
    • 스텔라루멘
    • 354
    • +3.2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510
    • +0.42%
    • 체인링크
    • 17,590
    • +5.27%
    • 샌드박스
    • 364
    • +2.2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