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바이오, 美·中 갈등 속 국제무대 진출 발판 확보 [바이오USA]

입력 2024-06-09 14:31 수정 2024-06-09 18: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4-06-09 14:3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2024 바이오USA’ 현지시간 6일 폐막

전 세계 70여 개국 1만9000명 참여…韓 3년 연속 최대 해외 참관국
미국과 중국 갈등에 안보 문제로 번져…정부 고위급 관계자도 방문
국내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 수혜…K바이오 소부장 특별관 첫선

▲세계 최대 바이오 행사 ‘2024 바이오 인터내셔널컨벤션(바이오USA)’이 이달 3일부터 6일까지(현지시간) 나흘간의 일정을 끝으로 막을 내렸다.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올해 바이오 USA에는 70여 개국 1만9000여 명이 참여했다. 한국인 참관객은 1300명 이상으로 작년에 이어 3년 연속으로 최대 해외 참관국이 됐다.  (이상민 기자 imfactor@)
▲세계 최대 바이오 행사 ‘2024 바이오 인터내셔널컨벤션(바이오USA)’이 이달 3일부터 6일까지(현지시간) 나흘간의 일정을 끝으로 막을 내렸다.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올해 바이오 USA에는 70여 개국 1만9000여 명이 참여했다. 한국인 참관객은 1300명 이상으로 작년에 이어 3년 연속으로 최대 해외 참관국이 됐다. (이상민 기자 imfactor@)

세계 최대 바이오 행사 ‘2024 바이오 인터내셔널컨벤션(바이오USA)’이 막을 내렸다.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3일부터 6일(현지시간)까지 열린 행사는 시작 전부터 미국과 중국의 갈등으로 관심을 모았고, 일부 중국 기업이 불참하며 갈등에 불을 지폈다.

9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올해 바이오USA에는 70여 개국 1만9000여 명이 참여했다. 한국인 참관객은 1300명 이상으로 3년 연속 최대 해외 참관국이 됐다. 한국바이오협회 측은 부스를 운영한 한국 기업과 단체는 47개였지만, 비즈니스 미팅 등을 위해 현장을 찾은 한국 기업을 합하면 800여 개에 이른다고 전했다.

올해는 그간 행사와 달리 중국 기업이 자리를 비우면서 국내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의 주목도가 높았다. 한국관은 역대 최대 규모로 꾸려졌고, 바이오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특별관이 운영되는 등 각종 행사로 다양한 분야에서 K바이오의 기술력을 전 세계에 알렸다.

美·中 갈등에 국가안보실 제3차장 등 방문

▲왕윤종 국가안보실 제3차장을 비롯한 정부 고위급 관계자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6월 3일부터 6일까지(현지시간) 열린 2024 바이오 인터내셔널컨벤션(바이오USA)’을 참관했다. (사진제공=바이오 USA 공동취재기자단)
▲왕윤종 국가안보실 제3차장을 비롯한 정부 고위급 관계자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6월 3일부터 6일까지(현지시간) 열린 2024 바이오 인터내셔널컨벤션(바이오USA)’을 참관했다. (사진제공=바이오 USA 공동취재기자단)

올해 바이오USA는 미국 생물보안법의 영향으로 우시바이오로직스, 우시앱텍 등 중국 기업이 불참했다. 여기에 대만이 세계바이오협회위원회(ICBA) 이사장을 맡으며 양국의 갈등은 심화됐다.

기조 발표는 미국 국방부 소속 장교 출신의 폴 프레드릭스 대통령 부보좌관을 비롯해 정치분야 관계자들이 연사로 무대에 올랐다.

한국에서는 왕윤종 국가안보실 제3차장과 최선 과학기술수석실 첨단바이오비서관, 김현욱 경제안보비서관 등이 바이오USA 현장을 찾았다. 바이오 국제 행사에 정부 고위급 관계자가 방문한 건 이례적이다. 이들은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롯데바이오로직스, 론자 등의 전시 부스를 차례로 방문했다.

중국에 대한 견제는 한국·미국·일본·인도·유럽연합(EU) 등 5개국이 참여하는 민·관 합동 ‘바이오제약연합’ 발족으로 방점을 찍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바이오USA 기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5개국 연합이 결성됐다. 중국에 맞서 미국, 한국, 일본, 인도, 유럽이 의약품 생산에 필요한 원료 등의 공급망 구축에 협력하는 내용이 골자다.

행사장에서 기자들과 만난 왕 차장은 “지금까지 바이오를 안보 개념으로 보지 않았지만, 이제부터 보건 안보 측면으로 볼 필요가 있어 정책적으로 고민해 보고 있다”고 말했다.

CDMO부터 소부장 산업까지 바이오산업 다양화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6월 3일부터 6일까지(현지시간) 열린 2024 바이오 인터내셔널컨벤션(바이오USA)’에 12년 연속 단독부스로 참가했다. (이상민 기자 imfactor@)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6월 3일부터 6일까지(현지시간) 열린 2024 바이오 인터내셔널컨벤션(바이오USA)’에 12년 연속 단독부스로 참가했다. (이상민 기자 imfactor@)

미국과 중국의 갈등에 국내 CDMO 기업은 기회를 잡았다. 중국 기업이 미국에서 퇴출당하면 한국이 대체 1순위라는 평가다. 업계 관계자는 “법안이 강화될수록 중국이 아닌 나라가 혜택을 받게 될 것”이라며 “한국은 유력한 대체 국가”라고 밝혔다.

이에 맞춰 국내 기업도 기술홍보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신규 위탁개발(CDO) 플랫폼 에스-텐시파이를 출시하며 수주에 속도를 냈다.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생물보안법 이후 수주 문의가 2배 늘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셀트리온은 행사 기간 1600명 이상이 부스를 방문해 전년 대비 2배 이상 많은 방문객이 찾았다. 기업 간 미팅은 목표치인 150건을 초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바이오그룹은 이번 행사에서 총 100여 건의 파트너링 미팅을 진행했다.

한국관은 역대 최대 규모인 총 26개 기업과 2개 기관을 지원했다. 한국관 기업 부스와 상담장은 방문객들로 붐볐고, 총 400여 건의 상담이 이뤄지는 성과를 냈다.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과 한국바이오협회는 국내 바이오 소부장 기업들로 구성된 특별관을 별도로 운영해 참관객들의 발길을 끌었다.

국내외 바이오人 ‘교류의 장’ 열려

▲한국바이오협회는 행사 마지막 밤인 6월 5일(현지시간) 'BIO USA 2024' 부대행사로 ‘코리아 바이오텍 파트너십(Korea BioTech Partnership, KBTP)을 개최했다.  (사진제공=한국바이오협회)
▲한국바이오협회는 행사 마지막 밤인 6월 5일(현지시간) 'BIO USA 2024' 부대행사로 ‘코리아 바이오텍 파트너십(Korea BioTech Partnership, KBTP)을 개최했다. (사진제공=한국바이오협회)

국내와 해외 바이오 업계 관계자가 교류하는 장도 열렸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행사 마지막 밤인 5일(현지시간)에는 한국 바이오산업 환경과 자본시장, 상장 사례 등을 공유하고 국내외 바이오기업 간 네트워킹 행사인 ‘코리아 바이오텍 파트너십(Korea BioTech Partnership, KBTP)을 개최했다.

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800여 명의 사전등록자 중 770여 명이 현장에 참석했으며, 전체 참석자의 52%가 해외 바이오 업계 관계자일 만큼 한국 바이오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이에 앞선 4일 저녁에는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이 선진제약 시장 진출 방안을 모색하고 글로벌 주요 기관 및 단체들과 교류를 강화하는 ‘코리아 나이트 리셉션(Korea Night Reception)’이 열렸다.

리셉션에는 국내 기업과 기관을 비롯해 미국·호주 등 9개국 250여 개 기업 관계자 6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는 당초 예상 인원인 300여 명을 뛰어넘는 수치다. 북미, 호주 포함 9개국 글로벌 기업들이 세계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을 만나기 위해 자발적으로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엄승인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전무는 “전 세계에서 모인 제약바이오기업들의 한국기업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것을 실감했다. 국내외 기업간 활발한 네트워킹을 통해 비즈니스 기회가 다수 창출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신의 마음은 안녕하신가요?”…챗GPT에 위로받는 사람들 [요즘, 이거]
  • 주말 대규모 탄핵 찬반집회 예고…교통혼잡 예상
  • MVP 김도영, KIA 'EV 시리즈' 수집…내년에도 모기업 차 싹쓸이할까 [셀럽의카]
  • "금리 더 떨어지기 전에"…정기예금 '역대 최대'
  • 비트코인, 연준 찬물에 내림세…9만7000달러로 '뚝' [Bit코인]
  • [날씨] 잠시 주춤한 강추위…전국 대부분 눈·비 내린다
  • ‘나솔사계’ 22기 영숙, 처음으로 자존심 금 갔다…“처참한 느낌”
  • 美 생물보안법 연내 통과 불발됐지만…“통과는 시간문제, 수혜 지속될 것”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7,000,000
    • -2.55%
    • 이더리움
    • 5,150,000
    • -5.05%
    • 비트코인 캐시
    • 664,500
    • -6.47%
    • 리플
    • 3,374
    • -3.13%
    • 솔라나
    • 290,600
    • -5.5%
    • 에이다
    • 1,344
    • -5.02%
    • 이오스
    • 1,221
    • -8.61%
    • 트론
    • 370
    • -5.61%
    • 스텔라루멘
    • 549
    • -6.31%
    • 비트코인에스브이
    • 80,900
    • -3.52%
    • 체인링크
    • 34,300
    • -5.35%
    • 샌드박스
    • 835
    • -6.8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