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이사회, 17일부터 새 지도부 구성...현 집행위원장 연임 유력

입력 2024-06-10 08:1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유럽의회 선거 출구조사서 EPP 1위 예상
EPP 내부선 현 집행위원장 연임 반대 목소리 ↑

▲제 10대 유럽의회 선거 출구조사 결과. 보라색이 유럽국민당(EPP) 예상 의석 수. EPP가 199석으로 가장 많다. 출처 로이터통신
▲제 10대 유럽의회 선거 출구조사 결과. 보라색이 유럽국민당(EPP) 예상 의석 수. EPP가 199석으로 가장 많다. 출처 로이터통신
제 10대 유럽의회 선거가 9일(현지시간) 종료되면서 EU의 새 지도부 선출이 시작된다. 로이터통신은 EU 27개국 정상들이 17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비공식 정상회의를 갖고 선거 결과를 바탕으로 지도부 구성을 논의한다고 보도했다. 이후 27~28일 정례 정상회의에서 EU 행정부 수반인 집행위원장 후보를 확정한다.

EU 지도부 구성은 27개국 정상들이 모인 이사회가 한다. 집행위원장 지명은 리스본 조약에 따라 이번 유럽의회 선거 결과가 반영해야 한다. 유럽의회 선거에서 1위를 차지한 제1정당의 후보가 차기 집행위원장 후보로 우선 고려된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날 발표된 1차 예상 의석수에서 유럽국민당(EPP)이 1위를 차지했다. 중도우파 성향의 EPP는 전체 720석 중 191석을 얻었다. EU 정상들은 현 집행위원장이자 EPP 대표 후보인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을 지명할 가능성이 크다.

다만, EU 정상회의에서 합의된 집행위원장 후보는 유럽의회 인준 투표를 거쳐야 한다. 720명 중 과반인 최소 361명의 지지가 필요하다.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EU 정상회의 문턱을 넘더라도 유럽의회에서 연임을 위한 관문을 통과해야 한다. EPP 내부에서는 연임에 반대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고 로이터가 진단했다.

유럽의회는 개표 결과를 반영한 최종 결과를 10일 오전에 발표할 예정이다. 아울러 내달 첫 본회의에서는 유럽의회 의장과 14명의 부의장단 선출, 상임위원회 구성도 완료된다. 새로 선출된 집행위원장은 EU 각국 추천을 토대로 9월 중 국무위원 격인 집행위원 26명 후보 명단을 작성해 의회에 제출한다. 새 집행부는 유럽의회에서 인사청문회, 임명 동의 투표를 거쳐 12월 1일 공식 출범할 전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故 구하라 금고털이범, 버닝썬 사건과 연관돼 있을 가능성 있어"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방탄소년단 '활중' 미리 알고 주식 판 하이브 직원들…결국 법정행
  • 국내 최초 지역거점 바이오클러스터 ‘춘천 바이오클러스터’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10:5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7,209,000
    • +1.08%
    • 이더리움
    • 4,900,000
    • +2.64%
    • 비트코인 캐시
    • 550,000
    • +3.97%
    • 리플
    • 671
    • +1.36%
    • 솔라나
    • 209,800
    • +8.7%
    • 에이다
    • 554
    • +2.03%
    • 이오스
    • 830
    • +2.72%
    • 트론
    • 172
    • -0.58%
    • 스텔라루멘
    • 129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250
    • +1.9%
    • 체인링크
    • 20,320
    • +3.89%
    • 샌드박스
    • 479
    • +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