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선 아주대 의대 교수,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수상

입력 2024-06-17 08:5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세포사멸 기전과 염증반응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활동 펼쳐

김유선<사진> 아주대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교수가 14일 서울 몬드리안 호텔에서 열린 제23회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시상식에서 ‘학술진흥상’을 수상했다고 17일 밝혔다.

로레알코리아와 유네스코한국위원회가 후원하고, 여성생명과학기술포럼이 주관하는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은 과학 기술의 발전을 위해 끊임없는 열정과 헌신을 다 해 탁월한 연구성과 및 인재 양성 등에 큰 역할을 해 온 국내 여성과학자를 선정하고 있다.

올해 학술진흥상을 받은 김 교수는 세포사멸 기전과 염증반응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활동을 진행해 왔다. 특히 세포막을 붕괴시켜 스스로 사멸하는 ‘네크롭토시스(Necroptosis)’의 핵심 단백질 ‘RIPK3’의 암세포 내 발현을 유도할 수 있는 기전을 처음으로 밝혀낸 공로를 인정받았다.

김 교수는 이 연구 성과를 국내와 미국, 유럽, 중국, 일본 등 해외 24개국에 특허를 출원하고 기술이전 해 기술사업화를 실현했다. 또한, 네크롭토시스 조절 이상에 의한 피부·관절의 염증 질환이 발생하는 기전을 밝혀냈고, 최근에는 네크롭토시스에 의한 암세포사멸이 항암 면역반응을 증진시키는 새로운 분자기전을 제시하고 후속 연구를 진행 중이다.

한편, 김 교수는 50여 편의 논문을 주저자로 네이처 면역학(Nature Immunology), 분자세포(Molecular Cell), 세포연구 (Cell Research), 분자암(Molecular Cancer) 등 다수의 세계적인 과학 저널에 발표하며 뛰어난 연구 활동을 펼친 과학자로 평가받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5월 황금연휴 인기 여행지 살펴보니…‘오사카·나트랑·후쿠오카’ 톱3
  • 한덕수 대행 “한층 더 성숙한 민주주의 실현해 나가겠다”
  • 주유소 휘발유 가격 12주 연속 하락…리터 당 1635.6원
  • “밑 빠진 독” 게임 구독제의 역사…정액제에서 리니지 스킬 구독까지 [딥인더게임]
  • 마인크래프트 무비, 상상하는 모든 것이 '네모난' 현실이 된다 [시네마천국]
  • 해외IB, 韓 올해 성장률 전망치 0.5%까지 '뚝'…내년도 '흔들'
  • 티니핑부터 헬로카봇까지…어린이날 선물 어디서 살까
  • "명품에만 앰배서더? NO" 호텔에도 앰배서더 있다 [배근미의 호스테리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104,000
    • -0.29%
    • 이더리움
    • 2,615,000
    • +1.36%
    • 비트코인 캐시
    • 514,000
    • -5.25%
    • 리플
    • 3,158
    • +0.25%
    • 솔라나
    • 214,400
    • -1.2%
    • 에이다
    • 1,017
    • -0.49%
    • 이오스
    • 974
    • -0.71%
    • 트론
    • 364
    • +4.6%
    • 스텔라루멘
    • 419
    • +2.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8,900
    • -12.68%
    • 체인링크
    • 21,360
    • -0.88%
    • 샌드박스
    • 447
    • +1.3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