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서울대와 'AI 공동연구센터' 설립

입력 2024-06-17 13:3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전경훈 삼성전자 DX부문 CTO겸 삼성리서치장 사장(왼쪽)과 김영오 서울대 공과대학장(오른쪽)이 17일 'AI 공동연구센터'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
▲전경훈 삼성전자 DX부문 CTO겸 삼성리서치장 사장(왼쪽)과 김영오 서울대 공과대학장(오른쪽)이 17일 'AI 공동연구센터'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서울대학교와 인공지능(AI) 분야 기술 및 제품 경쟁력 확보와 인재 양성을 위해 'AI 공동연구센터'를 설립하고, 산학협력을 이어간다.

삼성전자와 서울대학교는 17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 글로벌공학교육센터에서 AI 공동연구센터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삼성전자 DX(반도체) 부문과 서울대 공과대학 대학원 협동과정 인공지능전공은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AI 공동연구센터에서 향후 3년 간 AI 최신 기술 분야에 대한 산학협력 연구과제를 수행할 예정이다. 앞서 서울대는 2020년 2학기부터 AI 전문 인재 양성을 목표로 공과대학 대학원에 협동과정 인공지능전공을 신설해 운영하고 있다.

연구 과제는 온디바이스 AI, 멀티모달(Multi-Modal) AI 등을 위한 세부 기술 확보로 구성된다.

삼성전자는 빠르게 변화하는 AI 분야에서 서울대와의 산학협력을 통해 AI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제품 기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과제에 참여하는 석·박사급 연구원을 대상으로 우수 인재 양성 및 확보를 위한 채용 연계 활동도 병행할 계획이다.

김영오 서울대 공과대학장은 "서울대와 삼성전자가 서로 간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협약이 충실히 이행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협력해 나아갈 것이며, 두 기관이 AI 분야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긴밀한 협조 관계를 유지해 나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전경훈 삼성전자 사장은 "서울대와 삼성전자 간 AI 공동연구센터 설립 협약을 통해, 삼성전자가 AI 분야 기술 및 제품 경쟁력을 공고히 하고, AI 미래 연구분야에 우수 인재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새 아이폰에 국산 부품 대거 탑재⋯中 추격 제동 [ET의 칩스토리]
  • '불꽃야구' 시끄러웠던 2025 트라이아웃 드디어 공개…김성근 픽은 누구?
  • 동학개미 표심 잡기 ‘사활’…대선후보 '배당소득세 완화·가상자산' 쏟아지는 자본시장 공약
  • "내란세력" "가짜 진보" "압도적 새로움"…판 뒤집을 '한 방'은 아직
  • “첨단 AI 솔루션 대거 선봬”…삼성·SK, 美 ‘DTW 2025’ 나란히 참가
  • ‘공적자금 연명’ MG손보, 구조조정 남았다⋯계약 유지 여전히 '안갯속'
  • 국산쌀은 일본행, 쌀가공식품은 미국행…찬밥 신세 벗어난 K-쌀[우리쌀, 해외서 재발견]
  • 배터리업계, 구조조정 도미노…“강한 기업만 살아남는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3 11:1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821,000
    • -1.37%
    • 이더리움
    • 3,425,000
    • -2.89%
    • 비트코인 캐시
    • 560,000
    • -2.27%
    • 리플
    • 3,445
    • +3.11%
    • 솔라나
    • 238,600
    • -2.85%
    • 에이다
    • 1,106
    • -2.73%
    • 이오스
    • 1,187
    • -7.84%
    • 트론
    • 371
    • -0.8%
    • 스텔라루멘
    • 424
    • -3.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500
    • -6.68%
    • 체인링크
    • 22,840
    • -4.36%
    • 샌드박스
    • 479
    • -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