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월급쟁이 가구 44.8%, 300만 원 이상 월급 받아
지난해 하반기 고용 시장 훈풍 등에 힘입어 맞벌이 가구가 사상 처음으로 600만 가구를 돌파하며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1인 월급쟁이 가구의 45% 가까이가 300만 원 이상의 월급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23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를 보면 작년 10월 기준 맞벌이 가구는 611만5000가구로 전년대비 26만8000가구 늘었다.
이는 2013년 관련 통계 작성이래 사상 처음으로 60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역대 최대다.
관련 뉴스
전체 유배우 가구(1268만7000가구로)에서 맞벌이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48.2% 전년보다 2.1%포인트(p) 상승했다. 이 역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대 비중이다.
임경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고용 호조세가 지속되고,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도 확대되면서 맞벌이 가구 수와 비중이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연령별 맞벌이 가구 비중을 보면 30~39세가 58.9%로 가장 많았고, 50~59세(58.0%), 40~49세(57.9%), 15~29세(52.6%) 등이 뒤를 이었다. 15세∼59세 부부 50% 이상이 동시에 일을 하는 셈이다.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맞벌이 가구는 232만6000가구로 전년대비 12만9000가구 늘었다.
막내 자녀의 연령별로 보면 맞벌이 가구는 7~12세(87만6000가구), 6세 이하(81만8000가구), 13~17세(63만2000가구) 순으로 많았다. 전년대비로는 6세 이하 3.9%p, 13~17세 3.1%p, 7~12세 3.0%p 각각 상승했다.
지역별 맞벌이 가구 비중은 제주가 60.5%로 가장 많다. 이어 전남(57.9%), 전북(57.1%), 세종(54.8%) 등 순이었다.
같은 기간 1인 취업 가구는 467만5000명으로 12만 가구 늘었다. 이 역시 역대 최대로 고용 호조 덕분이다.
해당 가구가 전체 1인 가구(738만8000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3.3%로 전년보다 0.2%p 올라 역대 최대 비중을 기록했다.
연령별로는 1인 취업 가구는 30대(109만 가구), 60세 이상(106만6000가구), 15~29세(90만7000가구) 순으로 많았다.
1인 가구 중 취업 가구 비중은 30대(87.4%), 40대(82.7%), 50대(74.7%), 15∼29세(65.5%), 60세 이상(39.5%) 순이었다.
1인 임금근로자 가구(373만4000가구)의 임금수준을 보면 200만~300만 원 미만 34.0%, 300만~400만 원 미만 24.8%, 400만 원 이상 20.0%, 100만 원 미만 11.1%, 100만~200만 원 미만 10.0% 순으로 많았다.
해당 가구의 44.8%가 월 300만 원 이상을 받았는데 전년보다 그 비중이 3.6%p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