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 만의 방북’ 푸틴은 또 지각…김정은과 정상회담 [종합]

입력 2024-06-19 08:2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9일 새벽 2시께 평양 순안공항 도착
애초 1박 2일 일정이 하루 일정으로
‘유사시 자동군사개입’ 조약 가능성↑
잇따른 순방으로 집권 5기 세 불리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새벽 북한 평양에 도착, 국빈 방문을 시작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우리 나라를 국가방문하는 로씨야련방 대통령 평양 도착, 경애하는 김정은동지께서 울라지미르 울라지미로비치 뿌찐동지를 뜨겁게 영접하시였다"고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연합)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새벽 북한 평양에 도착, 국빈 방문을 시작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우리 나라를 국가방문하는 로씨야련방 대통령 평양 도착, 경애하는 김정은동지께서 울라지미르 울라지미로비치 뿌찐동지를 뜨겁게 영접하시였다"고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연합)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새벽 북한에 도착했다.

크렘린궁은 푸틴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초청으로 18일부터 1박 2일 일정으로 북한을 국빈방문한다고 17일 발표했다. 푸틴 대통령의 방북은 2000년 7월 19∼20일 이후 24년 만이다.

다만 전날 저녁 도착 예정이었던 푸틴 대통령은 자정을 넘겨 이날 새벽에 평양 순안공항에 도착했다. 1박 2일 일정이 사실상 당일치기 일정으로 변경된 셈이다.

러시아 타스통신은 평양발 보도를 통해 “푸틴 대통령이 북한을 국가 방문(국빈방문)했다”라며 공항에서의 두 정상을 밀착 보도했다. 다만 푸틴 대통령의 북한 내 일정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이번 방북은 지난해 9월 러시아 극동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북러 정상회담을 한 이후 9개월 만의 답방이다. 당시 김 위원장은 푸틴 대통령에게 북한에 방문해달라고 초청했고, 푸틴 대통령은 이를 수락했다.

2019년 4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북러 정상회담을 포함해 푸틴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직접 만나는 것은 이번이 세 번째다. 당시 푸틴 대통령은 김 위원장의 방북 요청에는 응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번에는 신속한 답방으로 점점 공고해지고 있는 북러 밀착을 과시했다.

북한이 백화원 영빈관과 김일성 광장 등에서 손님맞이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져 푸틴 대통령의 방북이 임박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고 러시아와 북한은 푸틴 대통령의 방북을 하루 앞둔 이 날 일정을 공식 발표했다.

지난달 집권 5기를 공식 시작한 이후 가장 먼저 중국(5.16∼17)을 찾았던 푸틴 대통령은 벨라루스(5.23∼24), 우즈베키스탄(5.26∼28)에 이어 북한을 네 번째 해외 방문지로 택했다. 러시아와 북한은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 이후 관계를 발전시키고 있다.

북한은 지난해 9월 북러 정상회담 이후 러시아에 우크라이나 작전에 필요한 무기를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사회의 제재로 고립 위기인 러시아는 조건 없는 지지를 보내는 북한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있다. 이번 푸틴 대통령의 방북은 이에 대한 보답 성격으로도 풀이된다.

▲평양에 도착한 푸틴 대통령은 앞서 김정은 위원장에게 선물한 고급 승용차 아우르스에 동승, 백화원 영빈관 앞에 도착했다.  (EPA/연합)
▲평양에 도착한 푸틴 대통령은 앞서 김정은 위원장에게 선물한 고급 승용차 아우르스에 동승, 백화원 영빈관 앞에 도착했다. (EPA/연합)

우리 정부는 푸틴 대통령의 이번 방북을 계기로 양측이 '유사시 자동군사개입'에 가까운 수준의 군사·안보 협력에 합의하거나 조약까지 체결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는 것으로 전해졌다.

러시아의 북한 노동자 고용도 예상 의제 중 하나다. 북한 노동자 수급 계약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 결의에 저촉되지만, 러시아는 특별군사작전으로 폐허가 된 지역을 재건하는 데 북한 노동자를 투입하는 방안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크렘린궁은 푸틴 대통령이 방북에 이어 19∼20일 응우옌 푸 쫑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의 초청으로 베트남을 국빈 방문한다고 밝혔다. 결국, 이날 새벽에 평양에 도착한 푸틴 대통령은 24시간을 채우지 못한 채 다시 베트남을 향할 것으로 관측된다.

▲평양 순안공항에서 백화원 영빈관까지 이어진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모터케이드 모습.  (EPA/연합)
▲평양 순안공항에서 백화원 영빈관까지 이어진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모터케이드 모습. (EPA/연합)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국내보다 낫다"…해외주식에 눈 돌리는 대학생 개미들 [데이터클립]
  • "웃기려다가 나락"…'피식대학'→'노빠꾸 탁재훈'이 보여준 웹예능의 퇴보 [이슈크래커]
  • K-푸드, 수출 주역으로 '우뚝'…10대 전략산업 넘본다 [K-푸드+ 10대 수출 전략산업②]
  • "서울 집값·전세 계속 오른다"…지방은 기대 난망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①]
  • 줄줄 새는 보험료…결국 가입자 '쥐어짜기' [멍든 실손개혁下]
  • 피겨 이해인 "미성년 성추행 사실 아냐…부모님 반대로 헤어진 후 다시 만나"
  • 단독 “1나노 공정 준비 착착”…삼성전자, ‘시놉시스’와 1나노 IP 협업 진행 중
  • 셔틀버스 ‘만원’, 접수창구 순조로워…‘무기한 휴진’ 세브란스병원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15:0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688,000
    • -1.14%
    • 이더리움
    • 4,750,000
    • -0.46%
    • 비트코인 캐시
    • 525,000
    • -1.22%
    • 리플
    • 659
    • -1.05%
    • 솔라나
    • 191,700
    • -0.67%
    • 에이다
    • 534
    • -2.38%
    • 이오스
    • 799
    • -1.36%
    • 트론
    • 174
    • +1.16%
    • 스텔라루멘
    • 125
    • -3.1%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800
    • -2.52%
    • 체인링크
    • 19,310
    • -3.21%
    • 샌드박스
    • 464
    • -1.49%
* 24시간 변동률 기준